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Cheon Jae-woo (Chorus Boy)

Go to part: 1 2

It is quite significant in many ways that it is the first gay chorus ever to be formed in Korea. Dozens of people reveal themselves and come out at once; but most of all that we don’t sing ordinary songs, but songs that represent the stories we have kept inside. The main object of the gay chorus is to communicate gay pride to the general public.

Cheon Jae-woo (Chorus Boy)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Cheon Jae-woo (Chorus Boy)

June 2, 2010
Chingusai Office, Seoul, Korea

Cheon Jae-woo:
My name is Cheon Jae-woo. I am 40 years old, gay, and living in Seoul. I work as a doctor and I have been a member of Chingusai since its early days, which makes it about 14 years. Nowadays, I am an advisor for the group. I'm also part of a gay chorus called G-Voice

CM: Can you talk about your involvement with Chingusai and the areas that you have covered in this organization? 

CJW: I have been engaged in activism for a long time, and I have experienced many situations, first and secondhand: what it is like to be a sexual minority activist in a gay community, what it is like to be a gay rights activist in Korea… I use this experience to give advice to young people. I don't want to sit back just because I am already experienced. I still want to do what I can do. In an organization you always need someone who can bring people together, someone like a counselor; I guess I suit that position. 

CM: Is there a point of reconciliation between your medical practice and your activism? 

CJW: I have made some attempts, like forming medical groups and such. I don't know if I am grasping too much, but I want to try out things that are not related to my job. Frankly, I am not involved in any medical related activism for the moment. I did feel some sort of accordance between the two when I volunteered in Africa for HIV patients. 

CM: Could you perhaps tell me, the way the HIV pandemic manifests itself in Korea, the way that it is approached by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kind of activism that develops around these issues?

CJW: The dynamics of HIV in Korea are fair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hird world; it is more like in western countries. The first organization to deal with this was the Federation for HIV/AIDS Prevention, which was founded when HIV first became known to Korea and their primarily subjects were foreigners and homosexuals. After tha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egan to set up Korean branches; and later on iSHAP [Ivan Stop HIV/AIDS Project; 'Ivan' is a korean term signifying sexual minority] was founded. Needless to say, the stigma and prejudice posed upon HIV patients is almost global. Activism considering HIV in Korea also aims at dissipating these misconceptions. iSHAP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gay community and focuses on HIV prevention; organizations like Nanuri+ attach more weight on the human rights of HIV patients and it has also campaigned for the compulsory license for Fuzeon. I am sorry that I can't be very accurate. I am not directly involved with these movements. 

CM: It seems like the issue of HIV/AIDS concerning gay men, is an eminent threat, but the health of other minority groups such as lesbians and transsexuals for example would demand for the creation of institutions or of community programs. I understand that there is not such a thing, that these groups are left aside. Why do you think that is and what is the discourse around these themes? 

CJW: First of all, there is no government-based institution that I know of which gives positive aid as iSHAP. Lesbian communities, along with other women or minority groups, are trying to build health cooperatives, hopefully in the next few years. Transsexuals or transgender individuals focus more on legal issues like changing their family register. Many transsexual groups speak out on social issues. Unfortunately, one of them which was quite active, has shut down. But I guess somebody from these groups can give a more proper answer. 

CM: Is there an interest from the government in other social issues concerning the community, other than health issues?

CJW: LGBT communities can get financial support on a project basis from several governmental institutions: the city of Seoul, the Seoul Foundation of Art & Cultur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so on. G-Voice's new yearly project "Sing-Sing-Gay" intends for a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gays and the general public, and it received funding. But the one we came up with earlier, on publishing a guidebook on gay culture, didn't. Former projects considering teenagers got some too, though the amount wasn't much. 

CM: It seems to be that the government’s attitude toward LGBT issues is very pragmatic, in other words, it won't give support if it is something that may “risk” the well being of the larger population. Is there a discriminatory of homophobic under layer to this, to their discourse? 

CJW: No, I don't think so. It's true that we have to tune our proposals to the specific institution's standards: if we apply for the funding from the Seoul Arts & Culture Foundation, we emphasize the enhancement of cultural life of all Seoul citizens; if it is the Human Rights Commission, we emphasize our contribution to the rights of the general population. Also, there are a lot of us who apply for the funding, but there seems to be a certain percentage, a quota assigned to sexual minority groups. If this group gets it, the others won't. There is nothing homophobic about it, though. But people say that cultural organizations, human rights groups and NGOs will have a tough time receiving governmental support from to the new administration. 

CM: Would you outline perhaps some of the more important activities that you have been involved in Chingusai over the last years since it was founded? 

CJW: The gay Chorus: G-Voice. It is quite significant in many ways that it is the first gay chorus ever to be formed in Korea. Dozens of people reveal themselves and come out at once; but most of all that we don’t sing ordinary songs, but songs that represent the stories we have kept inside. The main object of the gay chorus is to communicate gay pride to the general public. Most gay people assume that there is nothing else to do in our communities besides having drinks or going clubbing, and so does the public. Gay chorus gives gays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al activities. When young people who have been feeling insecure and depressed because of their sexual identities come here and sing in the chorus, they begin to really appreciate themselves; they gain strength to carry on, to grow up and get out into the world. At those moments I realize the importance of this work.

CM: Can you speak about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LGBT identities in Korea, and how you use that in the current scene? I assume that you are aligning yourself to certain ways of being gay…

CJW: When we choose our songs for the performance, we consider singing the songs of gay icons. But in addition to that we try to reflect the Korean gay identity, and moreover regional gay cultures of Korea, like that of Jongno or Itaewon. The common stereotype of a gay chorus is singing Madonna and dancing, as they do in Itaewon clubs; we do these things too, but not just that. We do much more. We try to present the Jongno gay culture, that of older gay men in their 40s and 50s, which is all about sitting in bars and chatting and singing Trot [an old form of Korean pop music]. For example, writing lyrics of an experience you had in a Jongno bar and singing it in Trot tunes. We sometimes dance to pop and the audience loves it. But we always try to make a statement, and I guess that is the most difficult part. It is also hard to meet the expectations of every audience. It is a really rewarding experience when we really become one with the audience. 

CM: Is the gay chorus perceived as a kind of rarity or something that is outside of the mainstream? Or do you as an organization already have a place that exists outside of those prejudices? 

CJW: Our situation in Korean society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the Korean gay community in general. Korean society still is closed to sexual minorities. Gays appear quite often in TV series and movies, in the press, but there are very few people who think that my friend or my son can be gay. G-Voice's performances are somewhat within those limits too. We can't–not that we wish to–be a part of the mainstream. Some people even take our chorus as some kind of a school talent show, or maybe something like the Alcazar Show. In our performance we play with sexual differentiation; we try to let people see that the woman-man stereotype is actually not fixed, that it is something changeable. And we also perform songs that any male chorus would, so as to show that sexual minorities can be right near you, like your friend or a family member. But our audience is mostly those who are already interested. I hope that more people will start to come see us. 

CM: Could you reflect on the cultural history in Korea and instances in which, for example, in the theater, the opera or any of the other performing arts, gender might have been performed or discussed?

CJW: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re were groups of men called Namsadangpae; they last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They wandered about from one market fair to another, singing and dancing, performing short plays. Half of them dressed as men and others as women; they say that there were sexual relationships within the group. 

Cross-dressing was a quite constant act in the 1970-80s. Drags would gather secretly in gay bars and sing, or sometimes lip sync. These days lesbian communities are bringing in drag culture more actively, applying it to festivals or performances.

CM: Lastly, what do you think your challenge is as an activist? What do you think is the challenge that this society is facing regarding these issues? 

CJW: All sexual minorities in Korea are facing numerous issues. The military penal code, organizations or religious groups against homosexuality, the anti-discrimination act, just to name a few. I hope that all people, not just LGBT communities, will realize that these issues are important; that it is not just about us, but at the end about everybody.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한국에서 게이 코러스가 만들어진 것도 처음이고, 한 이삼십 명이 동시에 얼굴을 드러내고 커밍아웃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일반적인 노래가 아니라 내가, 우리가 그 동안 하고 싶었던 이야기들을 노래로 만들어 불렀다는 것이 가장 뜻 깊었습니다. 노래를 통해서 대중과 소통하고 게이 프라이드를 이야기하는 것이 게이 코러스의 가장 큰 존재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합창단 소년과의 인터뷰

2010년 6월 2일
친구사이 사무실, 대한민국 서울

Cheon Jae-woo: 저는 전재우라고 합니다. 마흔 살이고, 서울에 살고 있는 게이에요. 직업은 의사고 한국 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에서 14년 정도 활동하고 있어요. 초창기 멤버 중 한 명으로 지금은 고문을 맡고 있고, 게이 코러스 G-Voice에서도 6-7년 째 활동하고 있어요.

Carlos Motta: 본인이 친구사이에서 맡은 역할 및 구체적인 활동은 무엇인가요?

CJW: 오래 활동하면서, 게이 커뮤니티 안에서 성소수자 운동을 한다는 것, 한국에서 게이 인권운동을 한다는 것 등에 대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경험이 많이 싸였죠. 그런 것들을 한참 활동하는 친구들에게 조언해줄 수 있죠. 경험이 있다고 해서 뒷전에 물러나 일하는 건 별로 원하지 않아요.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은 계속 같이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조직에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부드럽게 묶어주는 사람, 고민상담사나 해결사 같은 사람이 필요한데, 그 역할이 나한테 맞는 것 같아요.

CM: 의사로서의 직업과 활동이 만나는 지점이 있나요?

CJW: 직업과 활동을 연결시키려는 시도는 초기부터 했죠, 의료 그룹을 조직한다든지. 하지만 욕심이 많은 건지 관심이 많은 건지, 직업과 관련된 것 말고도 하고 싶은 게 많았어요. 그래서 사실 지금은 의사일하고 연결되는 활동들은 못하고 있어요. 전에 아프리카에 HIV 관련 활동을 하러 갔을 때 어느 정도 둘 사이를 정리하는 느낌이 들었죠.

CM: HIV가 한국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정부가 어떻게 이에 대응하는지, 그리고 그와 관련해서 어떤 운동들이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CJW: 일단 한국에서 HIV의 역학은 아프리카를 비롯한 제 3세계와 좀 다르고, 오히려 서양과 더 비슷해요. 에이즈라는 병이 한국에 처음 알려지면서 에이즈퇴치연맹이라는 단체가 설립됐어요. 어떻게든 이 병을 관리하고 병이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죠. 주로 외국인들이나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했고요. 그러면서 외국 단체들의 한국 지부들이 하나 둘씩 생기고,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하는 아이샵(iSHAP)이 생겼어요. 하지만 HIV에 대해 사람들이 지니는 스티그마나 편견 등은 거의 어느 세계나 똑같아요. 그래서 초창기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HIV에 대한 사람들의 오해를 없애려는 활동에 많이 초점이 맞춰지고 있죠. 아이샵 같이 게이 커뮤니티에 한 다리를 걸치고 있는 단체들은 주로 예방활동에 치중하고 있고요. 에이즈 관련 인권활동 같은 경우 나누리+ 같은 단체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요. 특히 푸제온과 같은 약의 공급문제에 대응하기도 했죠. 저도 다른 사람에게 듣고 있는 이야기라서 확실하게 말씀 드리기가 어렵네요.

CM: 건강 관련 문제 말고도 정부가 커뮤니티와 관련해 지원해주는 사회 이슈가 있나요?

CJW: 다른 LGBT 커뮤니티 활동들은 서울문화재단, 서울시, 국가인권위원회 같은 곳에서 프로젝트별로 자금지원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 G-Voice에서 진행하는 싱싱게이 프로젝트 같은 경우 대중과의 소통을 주제로 하는데, 지원금을 받았죠. 하지만 게이문화를 소개하는 게이컬쳐 가이드북 같은 프로젝트는 떨어졌고요. 전에는 청소년 관련 사업을 했을 때도 지원금을 좀 받았습니다. 큰 돈은 아니었지만.

CM: LGBT에 대한 정부의 관점이 상당히 실용주의적인 것 같은데요. 그러니까 다수의 행복에 위협을 줄 수 있는 것에는 지원을 해주지 않는다는 거죠. 이런 태도 아래 담론적인 차원에서 차별적이거나 동성애혐오적인 것이 있나요?

CJW: 아니, 그런 건 없는 것 같아요. 물론 서울 시민 전체의 문화적 이익에 도움이 되는 안을 내면 서울문화재단의 지원금을 받을 확률이 높고, 다수의 인권에 도움이 되는 것이 인권위원회의 지원을 받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그에 맞춰야 한다는 점은 있겠죠. 또 지원을 신청하는 성소수자 단체들이 많이 있어서, 전체 지원금 중 일정 정도 이상 못 받도록 정해져 있는 것 같아요. 한 단체가 받으면 다른 단체는 못 받는 거죠. 하지만 동성애혐오가 그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이번에 정권이 바뀌면서 LGBT 커뮤니티뿐만 아니라 문화단체나 인권단체, NGO 등이 정부로부터 보조받는 게 정말 어려워진다고 말하긴 해요.

CM: 다시 의료적 차원으로 돌아오자면, 게이 남성들과 관련된 HIV/AIDS는 큰 위협인 게 분명하지만, 레즈비언이나 트랜스섹슈얼 등 다른 성소수자들도 건강과 관련된 공공 프로그램을 요구할 것 같은데요. 하지만 제가 알기로는 이런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기관이 전혀 없고, 이 성소수자들은 배제되고 있는데요.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걸까요? 이를 둘러싼 논의가 있나요?

CJW: 일단 정부에서는 아이샵처럼 적극적으로 지원해주는 단체는 없는 것 같고요. 레즈비언 커뮤니티를 비롯한 여러 여성 및 소수자 단체에서는 의료생협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어요. 트랜스섹슈얼 단체들도 자생적으로 생겨나서 이슈에 대해 발언하기도 하지만, 최근 몇 년간 활동하던 단체가 안타깝게도 없어졌죠. 트랜스섹슈얼이나 트랜스젠더들은 아무래도 호적변경과 같은 법적인 문제에 더 치중해요. 하지만 이쪽에 직접 종사하는 다른 누군가가 더 잘 대답할 수 있을 것 같네요.

CM: 친구사이가 설립된 후 10년간 활동하면서 하신 가장 중요한 활동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CJW: 최근의 활동 중에는 아무래도 G-Voice 활동인 것 같아요. 한국에서 게이 코러스가 만들어진 것도 처음이고, 한 이삼십 명이 동시에 얼굴을 드러내고 커밍아웃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일반적인 노래가 아니라 내가, 우리가 그 동안 하고 싶었던 이야기들을 노래로 만들어 불렀다는 것이 가장 뜻깊었습니다. 노래를 통해서 대중과 소통하고 게이 프라이드를 이야기하는 것이 게이 코러스의 가장 큰 존재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목적도 있어요. 사실 게이들은 커뮤니티에 나오면 술마시고 클럽가서 춤추는 것 외에는 별로 할 게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일반 사람들도 그런 오해를 많이 합니다. 게이 코러스는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게이들에게 제공해주죠. 성적 정체성 때문에 불안해하고 우울해하던 어린 친구들이 코러스에 나와 노래하면서 너무나도 밝고 긍정적으로 자신을 받아들이고, 세상과 소통해야겠다는 용기를 갖고, 성장해 나가는 것을 보면 정말 이 일의 필요성을 실감합니다.

CM: LGBT 정체성은 한국에서 어떻게 문화적으로 재현되나요? 그리고 이를 지금 활동에서 어떻게 사용하나요? 예컨대 선곡할 때나 공연을 기획할 때 게이라는 사실을 반영하는 방법이라든가.

CJW: 음악을 선택할 때에는 게이 아이콘들의 음악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한국 게이가 갖는 조금 다른 부분들, 나아가 한국 안에서도 종로의 게이 문화와 이태원의 게이 문화 간의 차이점들도 고려합니다. 일반적으로 게이 코러스 공연이라고 하면 마돈나 노래나 이태원 클럽에서 추는 춤 같은 걸 많이 생각해요. 물론 그런 것들도 하죠. 하지만 그 이상 많은 것들도 합니다. 같이 앉아서 술 마시고 수다 떨고, 노래방 가서 트로트 부르길 좋아하는 40-50대 게이들의 종로 게이 문화도 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해요. 어떤 종로 바에서의 경험을 가사로 표현해서 트로트풍의 멜로디를 붙인다든지... 관객 서비스 차원에서 아이돌 춤 같은 것도 추죠. 하지만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항상 생각하기 때문에 언제나 어렵다고 느낍니다. 관객들이 원하는 것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균형을 맞추는 것도 힘들어요. 가끔 관객과 호흡이 잘 맞아서 시너지 효과가 날 때는 성취감도 많이 느끼고 보람도 있죠.

CM: 보통 게이 코러스를 어떻게 받아들이나요? 독특하고 특별한 것으로 여겨지는지, 주류의 기대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으로 여겨지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이런 편견들로부터 벗어난 어떤 사회적 인정을 이미 받고 있나요?

CJW: 그건 한국 게이 커뮤니티가 한국 사회와 맺는 관계와 같은 부분이 많습니다. 한국사회는 아직 성소수자들의 존재를 잘 받아들이려 하지 않죠. 드라마나 언론, 영화 같은 데에 많이 등장하긴 하지만 그 사람이 내 친구, 혹은 내 자식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매우 적습니다. 그래서 G-Voice의 공연도 일반 문화 영역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주류가 되고 싶은 것도 아니지만 될 수도 없죠. 학생들의 학예회 공연이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태국의 알카쟈쇼 같은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요. 저희는 성차를 갖고 놀면서, 정형화된 남성성과 여성성이 사실 가변적인 것이라고 보여주는 공연을 많이 합니다. 또 내 이웃, 내 친구로서의 성소수자를 보여주기 위해 일반 남성합창단이 부를 법한 노래를 하기도 하고요. 아직은 관심 있는 사람들만 와요. 많은 분들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CM: 한국의 문화사 내에서, 그러니까 연극이나 오페라와 같은 공연예술 등에서 젠더를 다룬 것들이 있나요?

CJW: 한국의 18-9세기 정도에 남자들로만 구성된 남사당패가 있었죠. 20세기 초반까지도 있었다고 합니다. 주로 각 지역의 시장을 돌아다니면서 노래하고 춤추고 연극도 하는 문예집단이었죠. 반은 남장, 반은 여장을 하고 공연을 해서 집단 안에 성적인 관계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내려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 한국문화 역사에 대해 이야기해드리지는 못하겠네요. 드랙은 꾸준히 있었습니다. 7-80년대 게이바 같은 곳에 몰래 모여서 드랙한 채로 노래하고 립싱크도 하고 했죠. 요즘에는 레즈비언 쪽에서 더 적극적으로 드랙문화를 차용해서 축제나 공연 때 활용하는 것 같습니다.

CM: 마지막으로, 활동가로서 그리고 문화계 종사자로서 어떤 난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러한 이슈들과 관련해서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도전들은 무엇일까요?

CJW: 저 뿐만 아니라 모든 한국 성소수자들은 여러 현재적 이슈들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군형법 문제라든가, 동성애자에 반대하는 연합이나 종교단체라든가, 차별금지법 문제라든가… 이런 사안들의 중요성을 LGBT 커뮤니티는 물론이고, 일반 사람들도 알았으면 좋겠어요. 이는 비단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결국은 모두에게 중요한 거니까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