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Jinki

Go to part: 1 2

Yes it is, in fact, a relationship problem. But not just the personal one that I have with somebody I am in love with, but also my relationship with the world; how I breath along with the world, how I hold hands with it, how I embrace it.

Jinki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Jinki

May 30, 2010
Kyoungbok-gung, Seoul, Korea

Jinki: My name is Jinki and I am 21 years old. I tell people that I am a lesbian out of convenience, but I am searching for a word that better suits me. Four years ago I formed Rateen, an online community for sexual minority teens, and I am still running it.

 

Carlos Motta: Do you think the category, lesbian, is not enough to express your identity?

J: My current thoughts on this are whether one can really define one's liking women or being a woman. It is not that I am a transgender person. I can happily accept the fact that I am physically a woman, and that I really love women. But I don't feel that restricted by the general concept of woman. I am looking for a more appropriate word to define myself...

CM: What is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s that you have founded?

J: Even in Seoul there is no decent place where sexual minority teens can get together, and it is almost impossible even to meet someone like you in the local areas. So there was practically no base that our culture or activism could stem from. The existing online communities mostly focus on meeting people and dating; after realizing my sexual orientation, I knew these groups couldn't solve my issues. 

CM: So what is precisely the kind of work that you want to do with the organization that you are forming?

J: All I ever needed was someone telling me "Yeah, you're okay the way you are". But there was no place that could give me such consolation, so I formed Rateen. Rateen differs from the existing communities in two aspects: first, everything is organized and run solely by teenagers; whatever orientation, whether you're lesbian, gay, transgender or anything else, we all gather as one; and secondly, we provide shelter for sexual minority teens so that we can share our thoughts and develop our own culture. 

CM: Is this only an online platform?

J: No, we meet off-line too. Once a month we do seminars on sexual orientation theories and social issues. And every August 15th [Independence Day of Korea] we hold "Ivan Playground." At this annual event we do a lot of things: queer film screenings, open counseling, lectures and recreational programs. People get to know each other and exchange information.

CM: How do you fund these projects?

J: We pay the basic expenses out of our pockets. We never receive participation fees for the seminar; they are held in public meeting rooms and are offered for free. As for the events, the budget is at least 600,000 won [about 600 USD], even supposing that the space rental is free; so it is a small amount, 1,000 or 2,000 won [1-2 USD] is asked for. We supplement that with occasional donations, and sometimes other sexual minority groups give partial financial support. 

CM: Is there any help from the local government or the state government to fund the projects? 

J: The government regards homosexuality as harmful to minors. There is no way we can get support from it.

CM: What is the motto for the kind of work that you are doing? Is there a precedent group in Korea that has done similar work before that you are following or are you inventing the project as you go along?

J: There was no other teen group that made attempts like ours, as long as I know. Watching the adult communities I thought: "Hey, they’re getting together and having fun, why can’t we do that?" But what I did is trivial. Every member made Rateen what it is now, piece by piece.

CM: Is there a heretical background to the way you are starting to think about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is your work in a way influenced by gender theorists, queer theory or any other conceptual backgrounds?

J: To be frank, before I realized my identity, I was homophobic. So it was simply impossible to have a theoretical background or influence whatsoever beforehand. I am getting to know them along with my work.

CM: Do you think of Rateen as a political platform or do you think of it more as a community outreach program?

J: The latter. It hasn’t been long since I have considered politics. I used to think that my identity or myself stood on its own, no matter what political context. But after facing several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anti-discrimination act and youth protection act, I began to think that that is not the case.

CM: What is your ambition with Rateen? Where do you want to take this project further as you grow as an organization, but also as you grow as a person?

J: I never take myself as a leader or guider of Rateen. Rateen’s future course will depend on what the members want, as a collective. What I personally hope for is that there be a whole variety of sexual minority teen communities. Rateen can't be perfect for everyone; surely there ought to be those who need something different. 

CM: Do you get a sense that it is a moment in Korean history, that it is able to tolerate such an initiative, and if that is the case, why? Why do you think that you are able to do this today, and that there is a community that is building around the desire to speak up and act on these issues?

J: I can't say for sure, but I think the Internet shifted things to a new level. I don't know how I would have gone through without it. We can meet anybody, anywhere; and some of them will be the ones who proudly express their sexual identities. Their self-confidence passes on to one, and then to another... The change of common perception is not evident, but it is taking place every minute. Compared with the early days of Rateen, I feel that this world, at least my part of the world is slightly a warmer place. Won't this change, step by step, spread on to other people?

CM: So in a way, you are saying that Korean society is changing, because your generation is already speaking about things that were not spoken about before. And you are changing your community as well.

J: Yes, at least I myself have changed, and I changed my community. And my community changed other communities...

CM: How do you personally relate to tradition? How do you relate to the idea of family values and to religious integrity and to other things that seem to be so foundational to being Korean?

J: I came out to my family. My mother, at least around me, doesn't make homophobic remarks when we are watching TV shows that treat sexual minorities; nor does she ask me to marry a man anymore. It is not that she completely understands, but she knows those words can hurt me.

CM: Is you story common to the people that are associated with Rateen? Are people speaking in their families, talking to their friends and coming out in their circles?

J: Rateen's coming out rate is exceedingly high compared with other teen communities. We share ways to come out to your friends and family without devastating them, but at the same time being very clear and precise about you. Many young people think that coming out will injure others, that it will ruin their entire lives. But they change their thoughts after visiting Rateen. Many of them thank us. They tell us that they learned how to be proud of themselves before their parents, and that they now feel respected by them. Families and friends of sexual minorities come to Rateen and get information too.

CM: What is the situation in terms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mongst teens, in families but also in schools? Is there bullying in schools? Are the members of your communities complaining about being harassed by other students?

J: Still, in many places including homes and schools, violence against sexual minorities are taken as natural. There are truly many young people lingering around Shinchon Park [a park in Seoul where lesbians, especially minors, gather], who are kicked out of their homes after coming out. Having no specific way to earn a living, they are easily led to prostitution. In schools, there is a thing called "Ivan Censorship:" teachers hand out notes and demand students to point out who is lesbian; they judge students as lesbian by their looks–how they dress or how they do their hair–and give detentions for being one; they out students to their parents... These incidents are not rare, really. "F**king homo"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names among high school boys. Kids get physically or sexually harassed for being sexual minorities. Of all those news coverage on young students committing suicide due to "poor school grades," a huge percentage of them are actually because of sexual identity problems.

CM: How do the authorities react for example to the issue of suicide? One thing is to deny the existence of sexual orientation, but the other one is ignore that it is as a social problem. Is this a conversation that takes place at an institutional or official level?

J: Most parents don't want to reveal their child's sexual orientation. Six years ago, a boy called Yukudang killed himself; in his suicide note he wrote that he now wanted to come out proudly as gay. The community, which he belonged to holds annual memorials dedicated to, his death. But his parents strongly opposed releasing his real name; so he is still called by his web nickname, Yukudang. 

CM: How do you feel as a young person that is trying to be an activist in these circumstances that seem to be so closed and so abrasive to any initiative? Do you think that glass can be broken?

J: It would be impossible to abolish those glass walls at once. Even after the Stonewall riots, though they were a huge incident, no drastic turnover was made. It's just the small changes we feel that give us strength and hope.

CM: How do you envision yourself in the future, maybe 15 years from now? Do you think that you are going to be an activist? I mean you are already an activist, of course...

J: I don't usually refer to myself as an activist. What I do may contribute to the society, but I do it primarily because I want to, and I like to. I just love meeting these people, talking to them... It feels like my being and my life are reduced to simple social acts when I call myself an activist.

CM: I'm interested to come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interview, just to speak about categories. Amongst the young people that are part of your group, are these categories shifting? Are people less interested in calling themselves either gay or lesbian, but blurring these distinctions?

J: The majority of sexual minority teen communities still sort gays and lesbians, like making separate boards. But when somebody questions their identity in Rateen, most of us say: "You are just who you are, you don't have to identify yourself." Many of us think that words fail us. 

CM: I find this very interesting because traditionally in countries where there is a strong LGBT movement, it is these categories that people use politically as anchors to advance social change. But it seems to me, in Korea, maybe there is a more flexible way, because there isn't a movement that is so ingrained. Does that make sense to you?

J: Well, I think it's more because we are young. Many adult communities in Korea are still very hostile towards transgender, bisexuals or the BDSM community. For instance, some lesbian groups exclude M to F transsexuals. It is quite remarkable that Rateen alone keeps this sort of atmosphere.

CM: Do you feel comfortable speaking about sex and different ways of having sex? Can you speak about these things even within your community?

J: There are no authorized places where young people can receive sex education, so Rateen really has to speak up. A quite common case among young sexual minorities is that they don't know the proper way to have sex with the ones they love. They can't even imagine how, because all the information they get are based on heterosexual relationships. Rateen tries to give teens these tips and inform young people about safe sex.

CM: Is there anything else that you would like to talk about? Something that I haven't asked you about or that you haven't mentioned yet, something that you think is important to come across.

J: I once came out to a close friend of mine, who responded: "Okay, but isn't that just your relationship problem? I don't understand why that takes up such a big part of your life." This made me think for a moment; but whether I am in a relationship or not, whether I am in love with someone or not, my sexual orientation does not change, and just because of that I become excluded from the society. So I told my friend: "Yes it is, in fact, a relationship problem. But not just the personal one that I have with somebody I am in love with, but also my relationship with the world; how I breath along with the world, how I hold hands with it, how I embrace it." It is still difficult for sexual minorities to rent a house, get a job and to wholly enter society. We can't even be the legal guardians when our partners go into surgery. How can this be "just a relationship problem?" It is how I live, how I relate with the whole world.

Weblink: Rateen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연애문제는 맞지만,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의 개인적으로 연애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어떻게 세상과 호흡하고 손잡고, 어떻게 세상을 포옹하는지에 대한, 세상과의 연애 방식이기도 해요.

징키와의 인터뷰

2010년 5월 30일
경복궁, 대한민국 서울

Jinki: 저는 진키라고 하고, 21살입니다. 편의상 레즈비언이라고는 말하지만, 저한테 맞는 단어를 찾아가고 있어요. 4년 전에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어요.

Carlos Motta: 레즈비언이라는 분류가 본인의 정체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시나요?

J: 여성을 좋한다는 것과 내가 여성이라는 것을 과연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고민하고 있어요. 제가 트랜스젠더라는 건 아니에요. 신체적으로 여성이라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고, 여성을 아주 사랑한다는 점도 인정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여성 개념에 속박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해요. 나 자신과 내가 사랑하는 존재들을 어떻게 규정지어야 할지, 더 적절한 단어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CM: 말씀하신 단체에서는 이런 사안을 어떻게 다루나요?

J: 그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성소수자에 대해 먼저 말해야 할 것 같네요. 서울에조차도 아직 청소년 성소수자가 모일만한 곳이 별로 없고, 지역에는 아예 서로를 접할 기회 자체가 없어요. 그래서 청소년 성소수자의 문화나 활동이 만들어질 기반이 거의 없다시피 했죠. 기존에 있는 커뮤니티들은 거의 만남과 교제를 위주로 한 것이었고요. 제 정체성을 깨달은 뒤, 이런 커뮤니티들만으로는 제 고민을 풀 수 없다고 생각했어요.

CM: 그럼 단체에서 하는 일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J: 제가 필요했던 것은 단지 누군가가 "그래 넌 너 그대로도 괜찮아"라고 말해주는 것이었어요. 하지만 그런 위안을 주는 곳이 없었고, 그래서 직접 라틴을 만들게 됐죠. 라틴에는 기존의 커뮤니티들과 다른 점이 3가지 있어요. 첫째는 모든 행사의 기획과 진행을 청소년의 힘으로 해결한다는 것, 둘째는 레즈비언이든 게이든 트렌스젠더든, 정체성에 상관없이 같이 모인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청소년 성소수자가 고민을 공유할 수 있고, 더 다양한 우리의 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쉼터가 되고자 한다는 것이죠. 이 세 가지가 라틴의 특징이자 목표죠.

CM: 온라인에서만 활동하나요?

J: 아니요, 오프라인에서도 만나죠. 우선은 매달 성소수자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과 이 사회를 공부하는 스터디 모임을 매달 하고 있어요. 그리고 매년 8월 15일마다 이반놀이터라는 행사를 해요. 이반놀이터는 매번 100명 이상이 모여서 퀴어영화를 상영하기도 하고, 열린상담소를 열기도 하고, 강의나 행사도 해요. 친목도 다지고 서로 정보도 교환하죠.

CM: 활동 자금은 어떻게 조달하나요?

J: 기본운영금은 각자 쌈짓돈을 모아서 유지하죠. 스터디 모임 같은 경우는 일절 돈을 안 받고, 장소를 무료로 대여해주는 곳들을 찾아 진행해요. 행사는 장소대여비가 없어도 한 60만원 정도 들기 때문에 참여비를 1000원, 2000원 정도를 받고요. 가끔 받는 후원비를 모아서 보태고, 다른 성소수자 단체들의 지원을 조금씩 받아요.

CM: 정부나 지역기관에서 경제적 지원을 해주지는 않나요?

J: 정부에서는 동성애 자체를 어떤 청소년에 유해한 대상으로 보기 때문에 절대 도움을 받을 수가 없어요.

CM: 이런 활동을 하는 데에 좌우명 같은 것이 있나요? 이전에 비슷한 활동을 한 한국 단체가 있었나요, 아니면 새로이 만들어가고 있는 건가요?

J: 제가 알기로는 이런 시도를 한 청소년 커뮤니티는 없어요. 여러 성인 성소수자 커뮤니티를 보면서, "모임도 가고, 얘기도 나누고, 재미있게 노네! 나도 그러고 싶다!"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제가 만든 것은 아주 일부일 뿐이고, 여러 사람들이 모여 조각보처럼 엮어나가서 지금의 라틴이 된 거죠.

CM: 성적 지향과 젠더 정체성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 배경이 있나요? 젠더 이론이나 퀴어 이론, 아니면 다른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공간의 영향을 받은 것이 있다면 어떤 건가요?

J: 솔직히 말하면 저는 제 정체성을 깨닫기 전에는 호모포비아였어요. 그래서 처음 커뮤니티를 만들 때 어떤 이론에 영향을 받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죠. 오히려 활동을 하면서 이론들을 배워나가고 있는 중이에요.

CM: 라틴의 활동을 어떤 정치적인 것으로 생각하나요, 아니면 커뮤니티 복지 활동으로 생각하나요?

J: 커뮤니티적 성격이죠. 사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정치적인 것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못했어요. 내 존재나 정체성이 정치적인 상황에 상관없이 존재한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이번에 차별금지법이나 청소년보호법 등에 대해 알게 되면서 그렇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죠.

CM: 라틴의 미래는 어땠으면 좋겠나요? 하나의 단체로서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이후 라틴의 행보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요?

J: 제가 라틴의 방향을 제시해줄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그건 라틴 안의 친구들이 다 같이 만들어가는 문화에 따라 정해지는 거니까요. 제가 원하는 것은 다양한 청소년 성소수자 커뮤니티가 만들어지는 거에요. 왜냐하면 라틴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라틴과 다른 성격의 모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거니까요.

CM: 이런 독창적인 활동이 한국 사회에서 수용될 수 있는 역사적 배경이 있을까요? 이런 이슈들에 대해 발언하고 행동하고자 하는 커뮤니티가 오늘날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J: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이 큰 영향을 끼친 것 같아요. 인터넷이 없었다면 어떻게 살았을지 모르겠어요. 모든 지역의 사람과 만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또 자신의 정체성을 당당하게 표현하는 사람들과 접촉할 기회도 많아졌죠. 그러면서 자신감을 갖는 사람들이 한 사람씩 늘어났고요. 인식의 변화가 명확히 보이지는 않지만, 날마다 조금씩 일어나고 있는 것 같아요. 처음 라틴을 만들었을 때보다, 아주 조금이지만 이 세상이, 적어도 이 세상 속 나의 세계만큼은 조금 더 따뜻해졌다고 느껴요. 이렇게 조금씩, 한 사람씩 더 따뜻해질 수 있지 않을까요?

CM: 그러니까 말하자면, 오늘날 한국 사회가 변화하고 있는 것은 본인의 세대가 이전에 말해지지못했던 것들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거군요. 실제로 본인의 커뮤니티를 변화시키고 있고요.

J: 네, 최소한 제가 변화했고, 제가 제 커뮤니티를 변화시켰고, 그리고 제 커뮤니티가 또 다른 커뮤니티도 변화시키겠죠.

CM: 전통과는 개인적으로 어떻게 관계맺고 있나요? 가족적 가치나 종교에 대한 충실함처럼 한국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이 모든 것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나요?

J: 저는 가족들에게 커밍아웃했어요. 이제 어머니는, 적어도 제 앞에서는, 성소수자를 흥미거리로 삼는 방송을 봐도 호모포비아적 발언을 하시지는 않아요. 더 이상 결혼을 요구하시지도 않고요. 아직 완전히 받아들이지는 못했지만, 그런 말들이 나에게 상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아시는 거죠.

CM: 본인 같은 경우가 라틴 사람들에게 흔히 있는 경우인가요 ? 이들고 가족이나 친구들과 이야기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커밍아웃하고 있나요?

J: 다른 청소년 커뮤니티에 비해서 라틴의 커밍아웃 비율은 굉장히 높은 편이에요. 어떻게 커밍아웃하는 것이 상대방에게 덜 충격을 주면서 내 표현을 더 명확히 할 수 있는가를 함께 배우죠. 커밍아웃을 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가 된다거나, 인생이 무너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라틴에 와서 많이 생각을 바꿔요. "부모님께 당당해질 수 있는 방법을 배웠고 부모님이 나를 인정해주셨다, 라틴 너무 고맙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아요. 성소수자의 가족이나 친구들도 라틴에 가입해서 정보를 얻어가기도 하죠.

CM: 가정이나 학교에서 청소년들 사이에 벌어지는 폭력이나 차별은 어떤가요?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기도 하나요? 라틴 회원 중에 다른 학생들에게 받는 폭력에 대해 상담하는 사람들이 있나요?

J: 아직도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폭력은 너무도 당연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요. 신촌 공원에 가면 커밍아웃해서 집에서 쫓겨나온 친구들이 굉장히 많아요. 그런 친구들이 생계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다른 성소수자에게 몸을 파는 등의 것밖에 없죠. 학교에서도 이반검열이라는 말이 있어요. 선생님들이 설문지를 돌려서 누가 레즈비언인지 적어내라고 하기도 하고, 머리나 교복 모양만을 보고 이반이라고 판단해서 정학을 주기도 하고, 학생의 동의도 없이 부모님에게 아우팅을 시키기도 하죠. 이런 일들을 굉장히 비일비재해요. 남자고등학교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욕이 "호모새끼"죠. 성소수자라는 게 알려져서 폭행이나 성폭행을 당하기도 하고요. 뉴스에서 성적 비관으로 학생이 자살했다고 보도하는 경우 중 정말 많은 비율이 성적 정체성에 따른 자살이에요.

CM: 이런 자살에 대해 기관들은 어떻게 대응하나요? 성적 지향의 존재 자체를 부정할수 있겠고, 사회 문제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텐데요. 공적인 차원에서 이런 논의가 이루어지나요?

J: 대부분은 부모가 원치 않아서 성적 정체성을 공개하지 않아요. 6년 전에 육우당이라는 친구가 자살을 한 적이 있었는데, 유서에 "나는 죽어서 내 이름과 내가 게이라는 것을 당당히 밝히고 싶다"고 썼죠. 그 친구가 속했던 성소수자 단체에서는 매년 추모식을 열고 있어요. 하지만 부모님이 반대를 하셔서, 결국 아직까지도 이름을 밝히지 못하고 육우당이라는 닉네임으로 불리죠.

CM: 새로운 발언에 대해 이렇게 폐쇄적이고 부정적인 상황에서 활동하는 젊은이로서 어떤 기분인가요? 이런 장벽이 무너질 수 있을까요?

J: 장벽들이 있다면 분명 한꺼번에 와장창 무너질 수 없다고 생각해요. 스톤월 항쟁도 큰 사건이었지만 그 뒤로 많은 것이 변하지는 않았잖아요. 그래도 적어도 4년 전과 지금이 다르다는 것을 보면, 조금씩 바뀌어 나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죠.

CM: 미래에, 가령 15년 뒤에 스스로가 어떤 모습이길 바라나요? 이후에 활동가가 될 건가요? 물론 지금도 활동가이지만요.

J: 저는 제 자신을 활동가라고 잘 표현하지 않아요. 제가 하는 일들은 사회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일차적으로는 나의 욕구와 만족을 위해서에요. 제가 이 일 자체를 너무 즐기고, 사람들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것 자체가 하나의 감동이었죠. 만약 저 자신을 활동가라고 지칭하면 제 존재나 삶도 그냥 활동 중 하나로 환원될 것 같아요.

CM: 인터뷰 초반에 이야기했던 정체성 분류에 대해 다시 이야기하고 싶은데요. 본인이 속한 단체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런 분류가 변화하고 있나요? 스스로를 게이나 레즈비언으로 칭하기 보다는 이런 구분들을 없애려는 경향이 있나요?

J: 아직까지 청소년 커뮤니티에서는 게이방, 레즈비언방을 나눠서 노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라틴에서는 자신의 정체성을 잘 모르겠다고 하면 대부분이 "너는 그냥 너다, 굳이 정체화할 필요는 없다"고 이야기해요. 저와 마찬가지로 언어가 나 자신을 따라오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CM: 매우 흥미로운 지점인 것 같은데, 왜냐하면 전통적으로 LGBT 운동이 왕성한 나라들에서는 이런 분류들이 정치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거든요. 하지만 한국에는, 아마 그런 운동이 뿌리깊게 자리 잡고 있지 않기 때문에 더 유연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어떻게 생각하나요?

J: 그렇다기보다는 주로 젊은 친구들, 청소년들이 그런 경향이 많은 것 같아요. 기존 성인 커뮤니티에서는 여전히 트렌스젠더나 바이섹슈얼, BDSM 취향을 가진 성소수자들을 배척하고 폭력적으로 대하는 경우가 많죠. 엠투에프 성전환자를 절대 받아들이지 않는 레즈비언 커뮤니티도 있고요. 그 틈바구니 속에서 라틴만 이런 분위기를 갖고 있다는 게 놀라운 것 같아요.

CM: 성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다양한 성적 행위에 대해 서슴없이 이야기하나요? 커뮤니티에서 이런 이야기를 나누나요?

J: 청소년들에게는 성교육, 피임교육을 제대로 해주는 곳도 없어요. 그래서 오히려 라틴에서 이런 정보를 제공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특히 성소수자들은 사랑하는 사람과 어떻게 성관계를 갖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아요. 여태까지 이성간의 성관계에 대한 정보만을 전해들었기 때문에 자기들도 전혀 상상할 수 없는 거죠. 라틴에서는 그런 정보들을 더 개방하면서 안전한 섹스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CM: 더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있나요? 제가 묻지 않은 거나, 미처 말하지 못한 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거나.

J: 예전에 친한 친구에게 커밍아웃을 했는데, 그 친구가 "알겠어, 근데 그건 연애문제 아니야? 그게 왜 네 삶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더라고요. 그 얘기 때문에 잠시 고민을 했죠. 하지만 내가 연애를 하는 중이든 아니든, 내가 누군가를 사랑하든 아니든, 나의 성적 지향을 변하지 않고, 그 자체로 나는 사회에서 거부당하고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친구에게 이렇게 이야기했어요. 연애문제는 맞지만,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의 개인적으로 연애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어떻게 세상과 호흡하고 손잡고, 어떻게 세상을 포옹하는지에 대한, 세상과의 연애 방식이기도 하다고요. 여전히 성소수자는 집을 얻기도 힘들고, 회사나 사회에서 받아들여지기도 힘들죠. 사랑하는 사람이 아파서 수술을 받을 때 보호자 자격을 얻을 수도 없어요. 이런 게 어떻게 연애문제에만 국한될 수 있겠어요. 그냥 내가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고 세상과 연애하는 방식인 거에요.

http://cafe.daum.net/Rateen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