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K

Go to part: 1 2 3

The idea that women can desire women, that women can love without men was simply impossible to imagine. Before the so-called “Ivan Censorship,” they regarded girls holding hands, hugging, sitting on other's laps as expressing profound friendship.

K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K

June 1, 2010
Hongdae Toz, Seoul, Korea
 
K: My name is K. I have been a member of the Lesbian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since 2003. At that time the organization’s official name was Korean Women Sexual Minorities Human Rights Group Kirikiri, but it changed its name in 2005. Our activity is mainly focused on counseling–by email, phone or face-to-face–and we also participate in collective actions with other sexual minority groups. I was actually preparing for tomorrow’s regional elections at an activist collective called Mujigae-haengdong (Rainbow Action) just before I came here.

Carlos Motta: What is the platform that allows for an organization like Kirikiri to be formed? How does it fit in within the Korean society’s regard of lesbian issues? 

K: In 1993 lesbian and gay activists co-founded Chodong-hoe, but it soon separated in two: the gays formed Chingusai (Korean Gay Men's Human Rights Group) and the lesbians formed Kirikiri. There were mainly two reasons for this division. The first one was a sort of a relational dissension between us: the gay activists weren’t very, so to speak, equaled minded to lesbian activists. For example, if a woman activist smoked during a meeting, they would say, “How dare you smoke in front of us?” Just like any other Korean man would to younger women. The second reason was the difference between gay issues and lesbian issues. It was a time when people treated Aids as a homosexual disease, and “homosexual” usually was understood as gay. To gay activists the important agenda was to inform the public that this wasn’t true, and to prevent Aids within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gay sexuality itself was quite in the open even then, and actual campaigns followed... But lesbian sexuality wasn’t even visible. For instance, and this is still a common case, a man married to a lesbian would call us and say: “I’m bearing her just because she is having an affair with a woman; if it were a man I wouldn’t be holding back...” People didn’t take lesbians seriously.  

CM: What has it traditionally meant to be a woman in Korea and what does it mean to be a lesbian woman within that tradition?

K: Not only did women have less education or work opportunities than men, but they also suffered from a double standard regarding sex. It is the same problem that the western society went through, but only more intensified, Koreanized. All women were compelled to be the mother figure, at home and at work, to take care of people and perform emotional labor. After getting married, they would hear people saying: “Stay at home with your husband, don’t come out and mingle with other men–to them, people outside are all men–at work.” But men would also think that they can have sex with any woman they want, whenever they feel the need, despite the woman's will. So on the one hand, women were treated as beings that do not and should not have any desire for sex; and on the other hand, as beings that are always sexually available. The male-centered model of sexuality objectified them. In these circumstances, the idea that women can desire women, that women can love without men was simply impossible to imagine. Before the so-called “Ivan Censorship,” they regarded girls holding hands, hugging, sitting on other's laps as expressing profound friendship. 

A common joke in the sexual minority community is that the richest in Korea are gay couples, the second richest are heterosexual couples, and lesbian couples are last in the list.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poverty; and when it comes to lesbian women, economic and social disadvantages become much harsher. Gay men with a certain social status–this shouldn’t be generalized but in some cases it is quite true–can create a heterosexual family while having an alternative way to live their sexuality. However it is much more difficult for lesbian women to act freely once they enter the marriage system. Gender and social class are not two distinct spheres.

CM: Here is a two-part question: Can you tell me about feminism in Korea? How it has established itself in regards to the issues that you are mentioning?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inism and lesbianism, which is often a struggle in some countries.

K: I can’t possibly cover all of the feminist movement of Korea, but I will do my best. But beforehand, I should explain my position. I entered one of the most respected colleges of Korea in 2000, and I have seen with my own eyes the accomplishments of the feminist movement that flourished in the 1990s. I learned the latest discourses amongst many feminists; my course to being a feminist was a very happy one. So the feminism I can talk about is extremely limited, solely based on my own experience. I can’t cover the experiences of a high school graduate woman, nor that of a physically challenged woman, or that of an immigrant woman. But at the same time, I am a lesbian activist, which pushes me out of the mainstream and in to the sub-stream. I hope you understand my background...

The feminism I grew up with was an extension of the 1980-90s movement. It was a time when domestic and sexual violence, being a big social issue, were defined, and special acts considering these two, plus the Prostitution Special Act, were legislated. The primary activity of the feminist groups then was counseling through the Korean Women's Hotline, the Korea Sexual Violence Relief Center, etc. Meanwhile, campus society aimed at problems such as sexual assaults caused by faculty members. Being part of these movements, I learned to listen to the victims, which formed the foundation of my current activities. 

Actually, I was involved in student activist movements before I became a feminist activist. But the student society was also indifferent to feminism; so far as several rape incidents took place among the so-called "progressive" figures, followed by the usual denial. On this account, the Committee of 100 was organized. I realized that feminism can bring to surface silenced voices, voices inaudible even in the progressive camp. I was very enthusiastic; but even there lesbianism never became a subject. Everybody was talking about their boyfriends and about sexual assaults limited to the ones by men… I came to know that this frame couldn't be broken, so I began to search outside the campus. 

I was in a relationship with a woman–the first serious lesbian relationship I had–and she introduced me to Kirikiri (Lesbian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I immediately became a part of Kirikiri: I worked as a paid activist at Kirikiri but I have mostly been a volunteer activist. But two events made me part with mainstream feminism for good. There was a group run by, so to speak, the older generation of feminists called the Women's Foundation of Korea, which raised funds and gave financial support to feminist groups. Kirikiri always applied for the funding but never received any and we couldn't really understand why. Finally we were admitted, but not after long we found out that our funding was the remainders, just scraps of other funds, given to us just so that we would keep quiet. So we boycotted the funds; after this fight lesbian organizations were treated fairly. 

The second event considers the Hoju scheme [Hoju, the literal meaning being 'head of the family', refers to the patriarch, usually the father and if none, the eldest son. The Hoju scheme was the family register system of Korea until 2008, in which the family members were registered in subordination to the patriarch.] I participated as a representative of Kirikiri in the collective group that acted against the Hoju scheme, and discussed the alternative register system. I persisted the idea that the system should not be only individualized, but also non-heterosexualist, and that moreover it should consider single parent households. But the older generation of feminists objected, saying that this would dismiss the abolition itself and throw our past efforts out of the window, and if it did, it would all be our fault. I was dumbfounded, but had to compromise. The feminists that fought vigorously in the 1980-90s themselves had transformed into the narrow-minded heterosexualists that can no longer be looked up to. This feminism has become something that queer activists have to, not adopt, but fight against.

CM: Can you identify the most pressing issues that concern you as a feminist and as a lesbian? 

K: Visibility. People still don't know what lesbianism or being a lesbian is. We have to present ourselves to them: "Me standing in front of you, here, at this moment, I am a lesbian." If coming out on TV is too much, then come out on the radio; write articles, even if anonymously; give lectures, do street campaigns… We tell people that there are lesbians right amongst the people they meet every day. I sometimes ask: "Am I the first lesbian that you've ever seen in your life?" I think this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Nevertheless quite a few gay characters appear on public broadcasts or movies. Yet, the media images are too idealized, and can have negative effects. But lesbians are not even recognized. While watching Life is beautiful [A weekend primetime TV drama broadcasted in 2010 by SBS. Among the main characters were a gay couple, probably the first fixed homosexual characters to appear on a family TV series in Korea], I thought: "Wow, that's great. But when's our turn?" The lesbians that I first met at Kirikiri, those wearing leather pants and silver chains, short hair cuts, big and sturdy, those that I love but the society shuns: when will these women come out naturally on TV series? It is not that they represent the general lesbian, but that they really are there, and therefore deserve to be on those shows.

CM: What are the tactics and strategies that you are employing to address those issues?

K: Kirikiri’s changing its name to the Lesbian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was a part of our strategy. When it was the one and only lesbian organization in Korea, counseling was obligatory. We were no psychotherapists, but we received calls and responded to letters, telling them: "I'm a lesbian too, and I understand what you're going through." Counseling is our field, our practice. We thought that by changing our name to a more evident one, those who need help will be able to approach us more easily. Our efforts are still on going. To enhance the quality, we are expanding our channels and systematizing legal and medical supports; we are also campaigning to gain more publicity. In the long run, we are trying to construct a certain framework based on the real lives of Korean lesbians. Rather than importing foreign discourses and adjusting them to Korea, we have to build a totally different theory, which has its roots in the Korean environment, to do that, analyzing the consultations is crucial.  

One of the major problems we are dealing with right now is teenage "Ivans." They are kicked out of their homes and schools, and even group homes, for teens don’t welcome them. There are still a lot of instructors who think homosexuality is some contagious disease. We have to find out what teenage Ivans need, from their point of view, and moreover how to cultivate solidarity with teen activism.

The other problem is the coming out strategy. People are now more aware that unwanted outing should be avoided, but what really matters is to know when, how and to whom to come out. Korea not being a friendly place even for heterosexual single women, gets worse for an out and single lesbian. But the more people come out, the more will the closeted ones be able to realize that it is possible to reveal yourself, a woman loving woman as you are, and to live an independent life in this society. We need to gain this foothold.

CM: How do you turn all of these social problems into a legal framework? Is there a legal aspect of Kirikiri and how are you approaching that?

K: Legislative activism isn’t lead or determined at an official level. Still, we all feel the need for small but actual changes, and know that legislations or amendments are indispensable stages to realize that change. Considering this, I think we can sort out three issues. The first one has to do with family law. Same-sex partnerships along with all kinds of familial unions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constitute a legal family. I am not yet sure what the concrete legal form should be: should it be same-sex marriage or co-habitation agreements, or civil unions like PACS? There is a lot to think about. But the immutable principle is that speaking just for ourselves–homosexual couples–is meaningless; all outskirts of the heterosexual nuclear famil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econd issue is the anti-discrimination act. In 2007, sexual orientation didn’t make it to one of the clauses due to conservative religious groups. I don’t know if it will be included in this year’s amendment; whatever the results, it is said that it won’t have much practical effects during the Lee administration. In the meantime, some think that we need a special law that treats LGBTQs, apart from the larger, more general anti-discrimination law. I think these debates are themselves very meaningful.

The last one is same-sex sexual assaults, in which many issues overlap. Chingusai is taking action on military sexual assaults with the Korea Sexual Violence Relief Center, also on military criminal laws with the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These movements give us support, but we do not stand in the same horizon. In Korea’s current penal law, the rape victim is still stated as female, which is per se genital-centered and heterosexist. Even when, a few years ago, an MTF transsexual was first approved as a rape victim, the ruling itself was viewed in this light: it says, she counts as a rape victim because she has a vagina and because she can have sex with a man. How bizarre is this? Her being, though legally registered as male, justified as female, being relieved from additional harm, these are certainly significant; but that doesn’t mean all details are flawless. This ruling can fail to notice same-sex sexual assaults. Moreover, while sexual assaults among bio-males are, the penis being in the picture, “imaginable,” those among females aren’t. Even lesbians don’t recognize them. We have to expand the concept of sexual assaults. 

Weblink: Lesbian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여자가 여자를 욕망하고, 남자 없이 여자들끼리 사랑하고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은 상상조차 못한 일이었어요. 요즘에는 이반 검열 때문에 조금 덜해졌지만, 예전에는 여학생들이 손잡고 끌어안고 서로를 무릎에 앉히는 게 깊은 우정 때문이라고밖에 생각하지 못했어요.

케이와의 인터뷰

2010년 6월 1일
홍대 TOZ, 대한민국 서

K: 저는 2003년도에 한국레즈비언상담소에 가입해서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어요. 당시에는 단체 이름이 한국여성 성적소수자 인권운동모임 끼리끼리였고, 2005년도에 이름을 바꿨어요. 주로 이메일, 면접, 전화 등으로 상담을 하고, 다른 성소수자 단체들이랑 연대활동도 합니다. 지금도 무지개활동이라는 연대단체에서 내일 지방 선거를 준비하다 왔어요.

Carlos Motta: 끼리끼리 시절로 잠시 돌아가면, 이런 단체가 생길 수 있었던 배경이 뭔가요? 당시의 레즈비언 이슈들과 관련해서 끼리끼리가 한국 사회 내에서 취한 자리는 어떤 것이었나요? 그리고 어떻게 지금의 모습으로 발전했는지도 알 수 있을까요?

K: 끼리끼리는 1993년도에 레즈비언 활동가들과 게이 활동가들이 함께 만든 초동회가 갈리면서 단체에요. 게이들은 친구사이를, 레즈비언들은 끼리끼리를 만들었죠. 이렇게 분리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에요. 첫 번째는 생활하고 관계하는 데에 있어서 당시 게이 활동가들이 단체의 여성 활동가들에게 말하자면 평등한 태도를 보이지 않았대요. 예를 들어 회의할 때 여성이 담배를 피우면, 보통 남자 어른들이 젊은 여성들에게 그러는 것처럼 “네가 어떻게 담배를 필 수 있냐?”라고 한다든가…

또 다른 이유는 게이 이슈와 레즈비언 이슈 간의 차이였어요. 당시 에이즈는 동성애자들의 역병이라고 이야기됐는데, 이때 “동성애자”는 게이라는 인식이 강했죠. 그래서 게이들에게는 에이즈가 게이들의 병이 아니다라고 알리는 작업, 그리고 커뮤니티 내에서 에이즈를 예방하는 작업이 중요했죠. 즉 게이들의 섹슈얼리티는 이미 가시화되어 있었고, 그에 대한 투쟁이 뒤따라야 하는 단계였어요. 하지만 레즈비언들의 섹슈얼리티는 제대로 인식되지도 않는 단계였어요. 예를 들면,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기혼 레즈비언의 남편이 전화해서 “내 부인이 여자랑 바람이 났으니 참아준다, 남자였으면 못 참아주는데”라고 말할 정도로 레즈비언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거죠.

CM: 한국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전통적으로 어땠나요? 그리고 그 전통 속에서 레즈비언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또 어떤 것인가요?

K: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남성에 비해 교육이나 노동의 기회가 적었을 뿐만 아니라, 성적인 측면에서 여성에게는 이중적인 잣대를 들이댔어요. 이는 서구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한국식으로 더 강화되었죠. 우선 모든 여성들에게 집에서나 사회에서나 어머니 역할, 즉 보살핌과 감정노동이 필요한 일을 하도록 강요하죠. 결혼을 하면 “집에서 남편하고 있으면 되지 밖에 나가서 남자들—밖에 있는 사람은 남자뿐이라고 생각하죠—이랑 몸을 섞고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하고요 그러면서 동시에 남자들 자신이 필요하다면 어떤 여자든 자기와 섹스를 해야 한다고 여기고요. 즉 한편으로는 여성이 욕구가 없거나 없어야 하는 존재로 여겨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언제나 성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존재라고 봐요. 여성은 남성의 성적인 욕구를 중심으로 대상화된 거죠. 이런 인식 속에서 여자가 여자를 욕망하고, 남자 없이 여자들끼리 사랑하고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은 상상조차 못한 일이었어요. 요즘에는 이반 검열 때문에 조금 덜해졌지만, 예전에는 여학생들이 손잡고 끌어안고 서로를 무릎에 앉히는 게 깊은 우정 때문이라고밖에 생각하지 못했어요.

성소수자 커뮤니티의 농담 중 하나가, 한국에서 제일 부자는 게이 커플이고, 그 다음이 헤테로 커플이고, 그 다음이 레즈비언 커플이라는 거에요. 여성들이 쉽게 빈곤화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레즈비언이 훨씬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불리해질 수 있다는 거죠.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게이 남성들은 자신의 사회지위를 매개로 가정도 꾸리고, 자기 섹슈얼리티도 따로 꾸려갈 수 있겠죠. 반면, 여성들은 현재 결혼제도의 일부가 되면 남자보다 자유로워지기가 훨씬 어려워요. 젠더와 계급, 모두 연결되어 있는 거죠.

CM: 두 가지 질문을 드릴게요. 우선은 한국의 여성주의에 대해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앞에 말씀하신 이슈들 속에서 여성주의가 취한 입장은 어땠나요? 두 번째 질문은, 여성주의와 레즈비어니즘 간의 관계에 관한 겁니다. 몇몇 나라들에서는 이 둘 사이의 관계가 순탄치 않았죠.

K: 페미니즘 운동 전반에 대해서 제가 다 이야기할 수는 없겠지만, 할 수 있는 만큼 해볼게요. 그 전에 제가 선 위치를 먼저 말씀 드려야겠네요. 저는 서울에서 소위 명문대에 속하는 사년제 대학에 2000년에 입학했고, 90년대 후반부터 매우 활발했던 여성주의 운동의 훌륭한 사례를 많이 목격했어요. 수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있는 공간에서 여러 최신 담론들을 공부하면서 정말 행복하게 페미니스트가 됐죠. 그래서 제가 이야기하는 페미니즘은 고졸노동자 여성, 장애여성, 이주여성 등의 경험을 모두 아우르지 못하는 지극히 부분적인, 저의 경험에서만 나온 페미니즘일 거라 생각해요. 하지만 동시에 주류 페미니즘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비주류 페미니즘, 즉 레즈비언운동에 속하게 되었죠. 이런 배경을 잘 이해해주셨으면 해요.

제가 배우고 함께 성장했던 2000년도 초반의 페미니즘은 8-90년대의 연장선 상에 있었어요. 가정폭력이 문제가 되고, 성폭력이 정의되고, 가정폭력특별법, 성폭력특별법, 나아가 성매매특별법까지 나아가는 과정이었어요. 당시 여성단체들은 여성의 전화나 성폭력상담소 같은 사업을 주로 했죠. 한편 학교에서는 교수들의 성폭력 등 을 해결하려고 노력했어요. 그런 활동에 참여하면서 피해자의 목소리를 듣는 것에 대해 많이 배웠고, 그것이 지금 활동의 뿌리가 된 것 같아요.

사실 저는 페미니즘운동에 투신하기 전에 학생운동부터 시작했어요. 하지만 운동권 내에서도 여성주의에 대한 관심이 없고, 진보적이라는 인사들이 동료들을 강간하고도 발뺌하는 일들도 일어났어요. 그래서 운동사회 내의 성폭력에 문제를 제기하는 100인위원회가 결성되었죠. 그 속에서 저는 여성주의가 진보진영 안에서도 묻혀왔던 목소리를 들리게 할 수 있는 도구라는 것을 깨닫고 열심히 활동했어요. 하지만 그 안에서조차 레즈비언에 관한 이야기는 나오지 못했어요. 남자친구에 대한 고민만 있고, 성폭력도 남자에게 당한 성폭력에만 국한되었죠. 이 구도를 벗어날 수 없다고 깨닫게 되면서 학교 바깥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어요.

그 때 처음으로 여자친구를 본격적으로 사귀었는데, 그 사람의 손에 이끌려서 끼리끼리로 들어와서 바로 활동을 시작했어요. 한동안은 한국여성단체연합에서도 유급간사로 활동했어요. 하지만 2가지 사건 때문에 더 이런 주류 페미니즘 단체와는 함께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주로 윗세대 페미니스트들이 주축이 되어 자금을 모아 지원을 해주는 한국여성재단이라는 곳이 있어요. 그런데 끼리끼리가 프로젝트 공모에서 항상 떨어지기만 하는 거에요. 의아해 하던 중에 드디어 한 번 뽑혔죠. 하지만 그 지원금이, 끼리끼리가 “왜 우리는 안줘?”라고 반문하지 않도록 다른 단체들에게 주고 남은 돈들을 모아서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거죠. 그래서 지원금을 보이콧했고, 그 투쟁 덕분에 이후 단체들은 지원금을 잘 받게 되었어요.

두 번째 사건은 호주제 폐지와 관련된 거에요. 저도 끼리끼리의 대표로 호주제폐지 공동행동단체에 들어가서, 폐지 이후 신분등록제도에 대해 함께 논의했어요. 저는 개인별 등록만이 아니라 이성애주의가 드러나지 않고 한부모가족이 피해받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법안들까지 통과시켜야 한다고 계속 주장했어요. 하지만 윗세대 페미니스트들이 “그런 것까지 같이 하려고 하면 호주제 폐지도 안 되고, 그러면 다 너네 책임이다”라는 식으로 나왔죠. 기가 막혔지만 타협할 수밖에 없었어요. 이렇게 8-90년대에 투쟁적으로, 전투적으로 활동했던 페미니스트들이 이제는 저희의 존경을 받을 수 없는 편협한 이성애중심주의자들로 다시 다가왔어요. 그 페미니즘은 지금의 퀴어 활동가들이 취할 것이 아니라 맞서 싸우고 해결해야 하는 페미니즘이라고 생각해요.

CM: 단체에서 활동하는 여성주의자이자 레즈비언으로서 요즘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K: 일단 가시화가 가장 시급하죠. 사람들은 아직도 레즈비언이 뭔지도 모르고, 여자들끼리 대체 뭘 하느냐고 아직도 물어봐요. 그래서 “지금 당신 앞에 서 있는 내가 레즈비언이다”라고 계속 보여주어야 하는 거죠. 텔레비전에는 못나가더라도 라디오로 목소리 커밍아웃을 한다거나, 실명을 감추더라도 글을 쓴다거나, 강의를 나가거나, 거리 캠페인을 하기도 해요. 그러면서 당신들이 흔히 볼 수 있는 사람 중에 레즈비언이 있다고 이야기해줘요. “내가 세상 태어나서 처음 본 레즈비언이냐”고 물어보기도 하고요. 그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공중파 방송이나 영화에서는 게이 캐릭터가 그나마 많이 나와요. 물론 실제와 다르게 너무 예쁘고 아름답게만 그려지고, 그에 따른 껄끄러운 효과도 있죠. 하지만 레즈비언에게는 관심 자체가 없어요. <인생은 아름다워>를 보면서도 “와 좋긴 한데 우리는 언제 텔레비전에 나올까”라고 생각했어요. 제가 끼리끼리에 처음 갔을 때 있던 가죽바지에 체인달고, 머리 짧고, 덩치도 남자만한 그런 아저씨 같은 레즈비언들, 나는 좋아하지만 사회에서는 비호감으로 통하는 그런 언니들이 언제 아무렇지 않게 드라마에 나올까라고. 모든 레즈비언들이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실제로 그런 사람들이 있으니까 나와야 하잖아요.

CM: 이런 이슈들에 대해 취하는 전략이 있다면 어떤 건가요?

K: 끼리끼리가 한국레즈비언상담소로 전환한 것도 하나의 전략이었어요. 끼리끼리가 처음이자 유일한 레즈비언 단체였을 때는 상담을 안 할 수가 없었어요. 소위 말하는 심리학 전문가는 없었지만, 그냥 전화를 받아주거나 편지에 답장을 써주면서 “나도 레즈비언인데, 너도 참 힘들겠구나”라고 말해주는 데에서 시작했어요. 우리한테는 상담이 바로 현장인 거죠. 본격적으로 이름을 바꾼 가장 핵심적인 이유도 상담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좀 더 노출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이야기를 들어주기 위해 있는 곳이라고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죠. 지금도 상담채널을 더 확보하거나 법률지원, 의료지원 등을 체계화하는 것 같이 상담의 내실을 갖추려고 노력하고 있고, 사람들에게 더 쉽게 다가설 수 있도록 홍보도 하고 있어요. 나아가 현재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파악해서 정교한 분석 프레임을 만들려고 해요. 외국의 유행 담론을 한국식으로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하기보다는, 한국 사람들의 상황에 기반해서 문제의식을 새로 세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상담 내용의 경향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죠.

저희가 요즘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제 중 하나는 십대 이반들이에요. 집이나 학교에서 이반이라는 이유로 쫓겨나고, 청소년 쉼터에서도 잘 받아들여주지 않아요. 쉼터 선생님들 중 동성애가 옮는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거든요. 우선 십대 이반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눈높이를 맞춰 생각할 필요가 있고, 요즘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청소년 운동들과 성인 단체가 어떻게 연대해야 할지도 고민해야 하죠.

또 다른 문제는 커밍아웃의 전략이에요. 아우팅에 대한 경각심은 이제 어느 정도 자리 잡았지만, 사실 더 중요한 것은 언제 어떻게 누구에게 커밍아웃을 할 건가라는 문제죠. 일반 여성으로서 자립해서 살아가는 것도 쉽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레즈비언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공개하고 독립해 살기란 정말 힘들어요. 하지만 그런 사람들이 커밍아웃을 하면 “아 내가 여자를 좋아하는 여자로 혼자서 살아도 괜찮을 수 있구나”라고 보여주는 장치가 돼요. 이런 커밍아웃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죠.

CM: 이 모든 사회문제들에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어떤 법적 조치를 목적으로 하시는 건가요? 끼리끼리에서 하는 법적 운동 같은 것이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K: 단체 차원에서 확고하게 정한 입법운동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작지만 실질적인 변화가 여러 가지 있다고 생각하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법이 새로이 마련되거나 개정될 필요가 있고요. 그런 점에서 크게 세 가지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우선 첫 번째는 가족구성권 문제에요. 동성 간 파트너쉽이나 다양한 공동체들이 가족을 구성할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는 길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아직 어떤 것이 좋을지, 예를 들어 결혼합법화가 좋을지, 주거연대계약이 좋을지, 팍스(PACS) 같은 시민연대계약이 좋을지는 결정하지 못했어요. 여러 가지 고민이 필요하죠. 하지만 분명한 원칙 하나는 우리 같은 동성커플만 보장받기를 요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점이에요. 헤테로 핵가족 바깥은 모든 것에 눈을 돌려 연대할 방법을 모색해보아야 한다는 거죠.

두 번째는 차별금지법이에요. 지난 2007년에 보수 기독교 세력의 입김 때문에 차별 사례 중 성적 지향이 누락되었죠. 올해 개정안에 이것이 반영될지는 잘 모르겠어요. 하지만 어떻게 되든, 이명박이 집권하고 있는 동안에는 그다지 실효성을 지니지 않을 것이라고 여기고 있어요. 한편 이렇게 포괄적인 차별금지법이 아니라 LGBTQ를 위한 분리된 특별법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있어요. 이런 논의 자체가 굉장히 유의미하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계속 참여할 생각이에요.

세 번째는 동성성폭력 문제인데, 여기에는 여러 이슈가 겹쳐요. 친구사이는 성폭력상담소와 연대해서 군대 내 성폭력에 관해 발언하고 있고, 동성애자인권연대와 군형법을 문제삼는 활동도 하고 있죠. 이런 것들에 저희가 힘을 받을 수도 있지만, 완전히 같은 문제는 아니에요. 지금 형법상 강간죄의 객체는 여전히 “부녀”인데, 이미 그 자체가 성기중심적이고 이성애중심적이죠. 가령 얼마 전에는 호적상으로는 남자여도 실질적으로는 포스트오프(post-op)로 살았던 MTF 트렌스젠더가 강간죄 객체로 처음 인정을 받았었는데, 그때 판결문에도 여전히 이런 관점이 남아있어요. 이 사람이 질이 있고, 남자랑 섹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강간죄 객체로 인정가능하다는 이상한 논리를 세우는 거죠. 주민등록 번호는 여전히 1번으로 시작하지만 여성으로 인정받았다는 점, 피해로부터 구제받았다는 점 등은 유의미하지만 판결문의 세부내용까지는 동의할 수 없어요. 왜냐하면 그럴 경우 동성 간의 성폭력을 간과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죠. 게다가 생물학적 남성들은 페니스가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성폭력을 상상할 수 있지만 여성들의 경우 상상 자체를 못하죠. 여성 동성애자들조차도 성폭력을 인지하지 못해요. 성폭력의 개념을 확장하는 작업이 필요해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