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CHOI Hyun-sook and MONG Choi

Go to part: 1 2 3

Sometimes the progress will be slow and dull and sometimes it will be revolutionary. We do not know yet which path to take, but we know where we are heading. (CHOI Hyun-sook)

CHOI Hyun-sook and MONG Choi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CHOI Hyun-sook and MONG Choi 

June 3, 2010
Kyoungbok-gung, Seoul, Korea

Carlos Motta: Could you both introduce yourselves and tell me about the work you are doing regarding LGBTQ rights in South Korea? 


Clip from http://www.gaypolitics.com/category/choi-hyun-sook 

CHOI Hyun-sook: I joined sexual minority activism in 2004 and have been an activist ever since. My past work mainly includes founding the Sexual Minority Committee in Korea’s New Progressive Party (NPP), and agendizing sexual minority issues in institutionalized politics. I proposed several special acts considering LGBT identities, for example, on the legal recognition of sexual reassignment and same-sex marriage. All proposals were declined, but the New Progressive Party in the presidential and general elections later adopted these as policies. 

In 2007, I fought against the Anti-Discrimination Act for not including discrimination on grounds of sexual orientation. And that same year, a decision was made in the Party to put forth an out-homosexual candidate in the following year’s general elections, so I started working on that. I ran for office in 2008. 

I didn’t win the election. But after the elections, I have been working on the policies I stood for as a candidate: an agenda considering all kinds of minorities, not just sexual minorities but also the elderly and low-income communities. I am trying to put these into practice in local areas. Nowadays, I am especially focusing on social service workers. There needs to be an organization of caregivers that work for children and patients. I work as a caregiver myself. My activities mostly take place in Jongno.  

MONG Choi: I entered a lesbian rights group in 2004, which led me to become a sexual minorities activist. Later I came out and tried to build a more public lesbian organization, which did not work out well. I went on doing seminars on sexuality and lesbian citizenship. In 2007, I also participated in the fight against the Anti-Discrimination Law. There I formed an organization called Mujigae Hwaldong [Rainbow Action] along with many activists. 

After that, I worked with CHOI Hyun-sook during the elections. I discovered a certain potential: politics may be able to solve the discrimination that individuals or private organizations cannot. I worked on the foundation of the Sexual Minorities Committee within the New Progressive Party, and became Chair after CHOI Hyun-sook, who was the former chair, started working in local areas.  

I am dealing with several issues now. First, one that considers labor laws for people living with HIV;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is bringing in, for the first time, ILO’s international standards, and we are trying to adjust them to Korea’s environment. I am also working on the labor and housing rights of sexual minorities, attempting to form these into a concrete policy. It will consider not only sexual minorities but also all forms of family, such as single person households. 

CM: Can you describe the political establishment of Korea and how you, with a queer agenda, fit into that? How does that establishment view the things that you are proposing?

CH: If I may draw a big picture of Korean politics, until the 1960-70s, post-war Korea went through a hard time, and it was only after the 1980s labor movement that the people started to speak out. Sexual minority rights movements began in 1993, mainly focusing on identity issues. In 2000, the first progressive party [the Democratic Labor Party] was founded; and in 2004, the Sexual Minority Committee

Until 1987, it was often the case in Korea that the most conservative party continuously regained political power. We couldn’t call it a single-party system though, because democracy was mature to a certain point. Then in 1997,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came into power- the so-called first government transfer by the leading opposition party. This party [the Millennium Democratic Party] was in power for about 10 years, and now the conservative party has again become the governing party. We assume that the government will stay within the conservative parties for the time being. Of course, some of these parties consider themselves progressive, but in our view, they are fundamentally more or less conservative.

The parties that are politicizing sexual minority agendas are the Democratic Labor Party and the New Progressive Party. Both are left wing; only the left-wing parties act on sexual minority issue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Korea’s sexual minority movement itself is leftist; but the sexual politics movement is engaged with leftist politics. 

MC: I think the rise of the sexual minority movement in Korea has a lot to do with the government transfer of 1997 and the liberal paradigm. Before that, even left-wing parties were indifferent to sexual minority issues and even sometimes hostile to them. Within the Democratic Labor Party, there was a protest against the party’s nationalist and sexually conservative coloring. This later became one of the official reasons we quit DLP [After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some members left DLP and founded the NPP].

CM: It seems like a fundamental issue here is the recognition of sexual citizenship and of a political identity for sexual minorities, which are the most basic steps in order to begin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legislation of LGBTQ rights. In that very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climate, how do you envision strategies to pursue the advancement of citizenship rights? What do you look up to for inspiration; is it an international model that you are following, or is it a local strategy that you are inventing?

CH: Sexual conservatism is still widespread, even in NPP. Korean society keeps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extreme family values at its roots; but these factors are too limited to give a thorough explanation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 think that, basically, sexual conservatism and family values function together with capitalism. Capitalism is the system that reinforces family values, heterosexualism, and patriarchy. Capitalism demands from families to constantly reproduce labor, something that reinforces a culture of family values, which in our context equals a male-centered patriarchy. The distinction between normal and abnormal according to family values is capitalism’s running dog. This is why left-wing parties meet with anti-capitalists. 

MC: Korea’s sexual minority movement is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USA. It has placed LGBT identities, coming out of the closet, forming communities, helping each other and taking political action when needed as its core mandates. However this whole identity-centered movement deserves to be criticized. People satisfy and confine themselves within their own communities with their happy and friendly personal lifestyles, and are not able to question their rights at a political and social level. They think: “Is that really a problem? Can’t we just talk it over?”

We thought that we needed to go one step forward from this identity-based movement, and that is why we founded the Sexual Minorities Committee in DLP. But the sexual minority issues proposed by the committee had their limits too. They couldn’t be made into a general agenda because they are restrict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s specialized needs. So nowadays we take action in a more general sphere, covering many kinds of minorities such as immigrant workers and immigrant women. We discuss minorities’ housing rights and labor rights and those things that we need to protect from capitalism.

CM: What kind of political stance does the party take in relationship to LGBT identities being able to be formed only within the conditions set forth by capitalism? In other words, how do you both critique capitalism and at the same time draw from it in order to advance your cause by playing its game?

CH: I actually doubt whether it is capitalism that made possible the identity formation of sexual minorities. It is true that many cultural and academic discourses, especially feminist discourses developed within the capitalist system; and that thanks to these discourses, we were able to question the so-called normality, which only approved of heterosexuality. These discourses threw a light on the various and unique people who were living in obscurity. But they were always there and what they didn’t have was a name. 

LGBT identities are not something imported from the West; they existed at all times, in Korea, in India, in Thailand... Western theories just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identify themselves as LGBT. I think that Korean LGBT people have different identities, different cultures and different lives from those in the USA or Europe. I can’t agree that capitalism itself played a major role on sexual minority identity formation; it can opportunistically stand on the side of sexual minorities, but it ultimately aims at reinforcing normative family values. 

MC: To be frank, we have never had a chance to thoroughly discuss this subject. I personally think that modern capitalism was an important moment for the disclosure of sexual minorities. But the important thing is to question what a “sexual minority” is, and what is to come in the future. For instance, should LGBT people adjust themselves, though somewhat segmented, to the existing system, such as the marriage system, or should they fight for completely new rights? The existing system and capitalism engage with one another. I think the main task for us now is to change this capitalist society.

CM: One of the interesting themes that surfaces 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apitalism, which I think is one that is so intertwined in most of the world that it h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 also agree that our entire struggle is to achieve social change. But, how do you position yourselves as a party, as activists and as politicians? How do you achieve social change without having to modify that condition that is allowing us to perform our identities? How do you change the world within this world? I guess this is a classic question within left-wing politics.

CH: Actually, the biggest reason I became a social activist is because I am a Christian. I am a social activist, a feminist, and a Christian and these three aspects accord with each other perfectly within myself. Wherever I am, even if I am in a non-capitalist society, I believe that I will always be facing towards minorities. I may not be able to change the whole of society, but I will always choose the underprivileged and alienated people of society. This is my foundation. Because that is the most happy and most just way of life.

Returning to a more practical level, how we should reform this society? Whether that reform will be successful I can never be sure. It has only been 10 years since the New Progressive Party has raised its flag in Korea and marched undefeated. The results of the past elections prove that those 10 years didn’t bring much change. Even though, when I meet activists like myself, those who seek justice, I see the potential lying within. The ecology movement, the human rights movement, the anti-war movement, the feminist movement, the anti-sex trade movement, etc, are gradually professionalizing, maturing, and forming diverse networks.

Capitalism seems to be the dominant system in the world, but it is also exposing its dark side, such as with the recent financial crisis. I believe that our actions are constantly making small holes in the capitalist system and that as these holes create a network, society will become a more just place. Sometimes the progress will be slow and dull and sometimes it will be revolutionary. We do not know yet which path to take, but we know where we are heading. 

MC: This reminds me of the movie Milk. Actually, I wasn’t really interested in politics either. But after CHOI Hyun-sook ran for office, I realized the importance of executing agendas and policies that would speak on behalf for all sexual minorities and of cultivating politicians that will represent our issues. During the election, I met many local politicians with whom we will be able to work. Moreover, there are many political movements that can’t be reduced to a certain party; these have to network and colligate together. 

CM: Can you tell me what other issues you are working on now? What are the strategies that you are going to employ to achieve those goals?

CH: I am 54 years old. I have been a social activist for 24 years, a left-wing political activist for 10 years and an LGBT activist for 7 years. Just like always, my primary concern is the situation of local areas. The toughest moment of being a sexual minority activist is when I feel like I am grasping at thin air. It seems like there is no link between me and real people living real lives and undergoing real problems. However I keep on going, because Korean society calls for immediate action; and because I myself, desperately and earnestly, yearn for a change.

Nowadays I am trying to put into practice the policies I made during my candidacy. The voters may not recall my promises, but I have pledged them as a public figure. The rest of my life will be a quest, searching for the way to bring diverse left-wing issues, including sexual issues, into real life.

MC: A lot of activists around me tend to search within the realm of the party; how to raise an intra-party agreement on sexual minority issues, how to formulate a party policy… The party is important, of course, but the party will not last forever. The party's future is another problem. What I essentially want in the long run is to take our issues to another level, a more sound and steady level. 

CM: Do you think that LGBT identities or communities of people can have a positive life in Korea,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not a legislative system that supports LGBTQ rights and that there seems to be a very traditionalist society? Can you as LGBTQ communities live a healthy life and prosperous life? 

CH: If they choose to remain silent in the face of discrimination, they can probably live an easy, comfortable life. But if they choose to experience discrimination as a real hardships and to try to overcome it, they will have hard times, but also confidence and happiness. 

CM: Is there anything else that you would like to talk about?

MC: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foreign LGBT people might result from their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Korea has huge online LGBT communities and the biggest gay bars in Asia, but an inexistent legal systems. A lot of Korean LGBT people are reluctant to taking action because they fear exposing their faces; they worry they might lose everything if they go public. The major task of activists is to work this out.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때로는 아주 느리게, 때로는 아주 획기적인 방식으로 발전을 향해 나갈 수 있겠죠. 그 경로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어느 곳을 향해야 하는지는 분명하니까요.

최현숙과 최몽과의 인터뷰

2010년 6월 3일
경복궁, 대한민국 서울

Carlos Motta: 두 분 다 자기 소개를 좀 넓게 해주시겠어요? LGBTQ 인권과 관련해서 하는 활동이나 투쟁 등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두 분 다요.


http://www.gaypolitics.com/category/choi-hyun-sook/

CHOI Hyun-sook: 저는 2004년부터 성소수자 인권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어요. 진보정당에 성소수자위원회를 만들고 성소수자 문제를 제도정치영역에서 의제화하는 일들을 했죠. 특히 성전환자 성별변경법안이나 동성애자 결혼합법화안 등을 주도했어요, 법안이 통과되지는 않았지만요. 하지만 이것들이 대통령 선거나 총선에서 진보정당의 정책으로 쓰일 수는 있었죠.

2007년에는 차별금지법에 성소수자의 성정체성에 따른 차별 역시 금지 항목에 포함되도록 싸웠어요. 또 당에서 이듬해 총선에 커밍아웃한 동성애자 후보를 내기로 결정해서, 총선 준비를 시작했죠. 그래서 2008년 총선 때 종로지역에서 출마했어요.

당선되지는 못했지만, 선거 이후에는 총선 후보일 당시 의제화했던 정책들이나 공약들과 관련된 활동을 했어요. 성소수자만이 아니라 다양한 소수자들, 노인들과 저소득층 등과 관련된 의제들을 지역에서 실천하려고 애쓰고 있죠. 특히 요즘에는 사회서비스노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아동돌봄, 환자돌봄 등 돌봄활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조직을 만들려 하고 있어요. 저도 직접 돌봄활동을 하고 있고요. 주로 종로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이런 활동들을 하고 있어요.

MONG Choi: 저는 2004년부터 레즈비언 인권단체에서 성소수자 인권운동을 했어요. 그러다 나와서 레즈비언 대중단체를 조직을 시도했는데 잘 되진 않았죠. 이후에 섹슈얼리티와 레즈비언 시민권과 관련해서 연구모임을 하다가 2007년에 차별금지법 투쟁에 참여하게 되었어요. 당시에 여러 성소수자 운동가들과 무지개운동이라는 단체를 조직했었어요.

이후에는 최현숙 씨와 함께 총선 활동을 했어요. 그 때 약간의 가능성을 발견했죠. 정치활동은 개별적인 단체 활동으로는 풀 수 없는 차별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함께 진보신당 내에 성정치위원회를 꾸려서 활동했고, 위원장이었던 최현숙 씨가 지역에서 활동을 하게 되자 뒤이어 위원장을 맡게 되었어요.

지금은 우선 HIV 감염인들의 노동법과 관련된 활동을 하고 있어요. ILO 국제기준을 민주노총에 처음으로 들여오게 됐는데, 한국 내부 사정에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는 중이에요. 또 성소수자 노동권이나 주거권 문제를 구체적인 정책 차원에서 풀어내려는 활동도 하고 있고요. 단지 성소수자만이 아니라 일인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들의 주거권도 함께 고민하고 있죠.

CM: 한국의 정치적 배경과 상황이 어떤지, 그리고 퀴어 이슈를 그 속에서 어떻게 제기하시나요? 제안하시는 의제들이 현재 정치 제도에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제도권에서 이를 어떻게 수용하나요?

CH: 한국의 정치적 배경을 조금만 설명하자면 6-70년대에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80년대부터 소위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민중들이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어요. 그 속에서 93년부터 성소수자들이 정체성과 관련된 인권운동을 시작했고요. 그리고 2000년에 진보정당이, 2004년에 성소수자 위원회가 만들어졌어요.

한국은 1987년 후반 정도까지 가장 보수적인 당 하나가 계속 정권을 재창출하는 경향이 있었어요. 일당 독재라고 말하기에는 민주주의가 어느 정도 성숙하긴 했지만요. 그러다가 김대중 정권이 97년에 출범하면서 소위 정권교체가 이루어졌죠. 그렇게 제일 야당이 10년 정도 집권을 하다가 지금은 또 보수여당 쪽으로 회귀된 상태에요. 앞으로 당분간은 보수적인 당들 사이에서 정권이 오고 가지 않을까 생각해요. 물론 그 당들은 스스로가 민주고 진보라고 말하긴 하지만, 진보신당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정도만 달랐지 본질적으로 보수죠.

현재 성소수자 의제를 정치화시키는 곳은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에요. 둘 다 상당히 왼쪽으로 치우쳐 있죠. 성소수자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좌파 정당뿐이에요. 한국의 성소수자 운동이 좌파적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성정치 운동은 좌파정치와 결합하고 있어요.

MC: 성소수자 운동이 등장하게 된 것은 정권교체나 자유주의적 패러다임의 등장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해요. 사실 예전에는 좌파정당에서도 성소수자 의제를 별로 염두에 두지 않았고 반대하는 입장들도 있었어요. 그래서 민주노동당 내에서 민족주의적이고 성보수적인 색채에 반대하는 당내투쟁이 있었고, 이후 저희가 공식적으로 당에서 퇴출하는 이유가 되었던 것 같아요.

CM: 여기에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시민권과 정치적 정체성의 인정에 관한 것인 것 같은데요. 이는 LGBTQ 인권을 법제화하는 데 거쳐야 할 첫 번째 단계이고요. 이렇게 보수적인 환경에서, LGBTQ의 시민권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을 구상하고 있나요? 어떤 국제적인 모델을 따르고 있나요, 아니면 지역에 맞는 새로운 것을 만들고 있나요?

CH: 심지어 진보신당 내에도 성보수적인 입장들이 상당히 많아요. 서구와 달리 한국사회에는 유교적 전통과 아주 극단적인 가족주의가 자리 잡고 있죠. 하지만 이것들만으로 한국사회를 설명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기본적으로 성보수주의와 가족주의는 자본주의와 같이 간다고 생각해요. 가족주의와 이성애주의, 가부장주의를 강화시키고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체재가 자본주의라는 거죠. 자본주의가 끊임없이 노동자를 재생산해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가족이기 때문에 가족중심주의가 생길 수밖에 없고, 그러면 남성중심적 가부장중심체제가 강화될 수밖에 없어요. 가족주의 속에서 정상의 시민과 비정상의 시민을 가르는 것은 자본주의의 앞잡이 노릇을 하고 있는 거고요. 그래서 좌파정당은 반자본주의와 어우러지는 거죠.

MC: 한국사회의 성소수자 운동은 미국사회의 성소수자 운동과 매우 유사해요. LGBT 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해서 커밍아웃을 하고, 커뮤니티를 이루고, 서로 상담도 하고 돕다가 정치적인 액션도 취하고…… 하지만 이런 정체성 중심의 운동에 비판적인 지점들이 있죠. 커뮤니티 내에서만 서로 돕고 행복한 라이프스타일을 만들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게 되고, 성소수자의 권리를 정치적인 차원, 사회적인 차원에서 생각하지 않게 돼요. "그게 진짜 문제가 되나? 그냥 얘기로 해결하면 되는 것 아닌가?"하고 여기는 거죠.

이런 정체성 중심의 운동에서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는 생각에, 민주노동당에서 성소수자위원회를 만들었어요. 하지만 이 위원회가 제기하는 성소수자 의제는 별도의 운동으로만 활용되고 전체적으로 이슈화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그래서 지금은 성소수자만이 아니라 이주노동자, 이주여성 등 다양한 소수자들을 포괄하는 보편적인 차원에서 주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요. 자본주의로부터 쟁취해야 할 소수자들의 주거권과 노동권 등을 논의하고 있죠.

CM: 자본주의라는 조건 하에서만 형성될 수 있는 LGBT 정체성에 대해서 당이 취하는 논리적이고 정치적인 입장은 무엇인가요? 달리 표현하면,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태도와 동시에 그로부터 취할 것을 취하는, 즉 자본주의에 맞춰주는 태도를 어떻게 양립시키고 있나요?

CH: 솔직히 과연 자본주의가 성소수자들을 정체화하게 한 걸까 의심스러워요. 물론 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와 함께 문화와 학문 내에 여러 담론들, 특히 여성주의적 담론들이 생겨났죠. 그 속에서 정상성, 이성애만이 정상적이라고 보는 관점에 대한 문제의식이 생겼고요. 그 과정에서 다양하고 각별한 사람들을 발견해낸 거죠. 하지만 이 사람들은 아직 명명되지 않았을 뿐, 이미 존재하고 있었어요.

소위 LGBT라는 것은 서구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이미 한국에도, 인도에도, 태국에도 있었어요. 이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한 것은 서구의 학문 덕분일 수는 있겠지만요. 저는 한국의 성소수자는 미국이나 유럽의 성소수자와 다른 정체성과 다른 문화, 다른 삶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자본주의가 성소수자들을 정체화할 수 있게 해줬다고 생각하지도 않고요. 물론 필요하다면 성소수자들을 이용할 생각은 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가족중심주의를 향하고 있다고 봐요.

MC: 사실 그런 부분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를 나눈 적은 없어요. 개인적으로 자본주의라는 근대적 공간 자체가 성소수자의 출연에 중요했다고 생각하긴 해요. 하지만 이 성소수자가 어떤 것이지, 특히 이후에는 어떻게 될 것인지 질문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서 LGBT가 사회 속에서 분절된 채 결혼 제도 같은 기존의 체제에 맞추어가며 살아야 하는지, 아니면 어떤 권리를 새로이 쟁취해야 하는지 물어야 하는 거죠. 기존 체제와 자본주의가 맞물려 작동하고 있는 것도 분명하고요. 따라서 자본주의 사회를 어떻게 바꿔나가야 하는지를 생각해야 하는 단계가 아닐까 해요.

CM: 여기에서 흥미로운 건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간의 관계인 것 같은데요. 이 둘은 전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너무도 얽혀 있어서 언제나 고려해야 하죠. 저 역시도 우리의 투쟁이 어떤 사회적 변화라는 목적을 갖는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렇다면 당원으로서, 활동가로서, 정치인으로서 스스로를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나요? 우리가 정체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건을 버리지 않고 어떻게 사회적 변화를 이룰 수 있을까요? 다시 말해, 이 세계 안에 속하면서 동시에 이 세계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좌파 정치의 고전적인 문제이죠.

CH: 사실 제가 사회운동을 시작한 핵심적인 이유는 예수쟁이이기 때문이에요. 지금도 여전히 그렇고요. 저 안에서 사회운동가, 페미니스트, 예수쟁이는 완벽히 하나의 입장으로 일치해요. 그래서 저는 제가 이 자본주의 체제가 아닌 다른 사회에 들어가더라도 끊임없이 소수자들을 향하고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전체 사회를 다 바꾸어 놓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사회 변혁의 흐름 속에서 소외되어 있는 약자들을 선택하는 게 저의 기본적인 시선이에요. 그게 가장 행복하고, 가장 올바르니까요.

그런데 정말 이 사회를 전체적으로 어떻게 변혁시킬지는, 과연 변혁이 성공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어요. 한국 정치에서 소위 진보정당이 깃발을 걸었다가 꺾이지 않고 온 건 이제 겨우 10년이거든요. 그리고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확인됐듯이 그 10년의 성과가 정말 적고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와 비슷한, 함께 정의로움을 추구하는 많은 활동가들을 보면 다양한 가능성을 발견해요. 생태 운동, 인권 운동, 반전 운동, 페미니즘 운동, 성매매 반대 운동…… 이 모든 것들이 점점 전문화되고 성숙해지면서 서로 간에 다양한 네트워크를 만들어가고 있어요.

자본주의는 지금 엄청난 위세를 떨치는 것 같으면서도, 금융위기 등을 겪고 있어요. 저는 우리가 하는 여러 활동들이 자본주의라는 체제 안에서 계속 구멍을 만들고 있다고 생각해요. 이 구멍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면, 올바른 사회를 향한 발전을 이루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요. 때로는 아주 느리게, 때로는 아주 획기적인 방식으로 발전을 향해 나갈 수 있겠죠. 그 경로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어느 곳을 향해야 하는지는 분명하니까요.

MC: 영화 <밀크>가 생각나네요. 사실 저도 원래 정치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어요. 하지만 최현숙 씨가 출마하시면서, 우리가 대의제나 정책들 속에 성소수자라는 존재를 어떻게 드러내고, 우리의 의제를 대변할 정치인을 어떻게 키워야 할지를 생각하게 된 것 같아요. 구체적으로는 이번 지방선거 때 우리 의제를 같이 풀어나갈 수 있는 지역의 정치인들을 많이 만났었죠. 또 비단 정당으로만 환원될 수 없는 정치와 운동들이 네트워킹되고 종합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CM: 두 분이 당내에서 하는 좀 더 실질적인 활동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데요. 두 분이 현재 하고 계신 활동들이 어떤 것인지, 그리고 미래에 바라는 바는 무엇인지 말씀해주시겠어요? 그리고 그를 이루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은 어떤 것이 있나요?

CH: 전 이제 나이가 54이고, 사회운동은 24년 째, 진보정치운동은 10년 째, 성소수자 운동을 중심으로 활동한 것은 7년 째에요. 이전처럼 지금도 저한테 가장 핵심적인 이슈는 지역이에요. 사실 성소수자 운동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허공에다 대고 떠드는 느낌이 든다는 거였어요. 직접 어떤 동네에 가서 이 의제를 가지고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고리가 없는 느낌이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운동이 한국에서 정말 절박한 것이었고, 나 자신에게도 행복하지만 절박한 것이어서 했죠.

종로에 출마하면서 주장했던 것들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천해낼지를 고민하고 있어요. 유권자들이 제 말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저는 한 명의 정치적인 공인으로서 유권자들에게 약속한 것이니까요. 이제 내 나머지 삶의 내용은 성정치의 의제들, 그리고 진보의 다양한 의제들을 지역 속으로 갖고 들어가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될 것 같아요.

MC: 요즘 사람들은 당 내에서 성소수자 관련 정치 의제에 어떻게 동의를 이끌어낼지, 그리고 어떻게 정책으로 만들어낼지 등이 가장 고민인 것 같아요. 물론 당도 중요하지만, 사실 언제 망할지도 모르죠. 저는 이런 문제들을 당 자체의 미래와는 별개로 장기적으로, 견실하게 끌어가고 싶어요.

CM: LGBT 인권을 보조하는 어떤 법적 제도도 없는 상황에서, 그리고 전통적 사회가 아직도 강하게 남아있는 상황에서, 한국 LGBT 커뮤니티의 사람들이 여전히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LGBTQ 커뮤니티에 속하더라도 건강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요? 아니면 지금부터 그러한 가능성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건가요?

CH: 당면한 차별을 침묵하면서 조용하게 살기로 한다면 상당히 편하게 살 수는 있을 거에요. 하지만 차별을 구체적인 아픔으로 느끼면서 그 차별을 없애겠다고 작정한다면 어렵지만 동시에 당당하고 행복해지겠죠.

CM: 더 덧붙이고 싶은 말은 없으신가요?

MC: 한국의 LGBT와 외국 LGBT 간의 차이는 정치적, 사회적 배경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한국은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굉장히 크고, 오프라인에서도 아시아에서 가장 큰 바가 있죠. 하지만 사회정치 제도 같은 것은 거의 부재해요. 성소수자 운동을 제안하면 얼굴을 드러내고 자기 목소리를 내야 하는데, 대부분이 그것을 굉장히 경계시해요. 그러는 순간 모든 것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는 두려움이 있는 거죠. 이것을 잘 풀어내는 것이 모든 활동가들의 고민인 것 같아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