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Susu

Go to part: 1 2 3

When I first met the teenagers, they asked me how old I was, and whether I was a lesbian. I told them I am a lesbian in my 30s. They were so shocked! These girls had never imagined, not even once, that there could be lesbians older than them that live as lesbians and are appreciated for who they are. They thought they would turn "normal" in their 20s. When I told them that I still love women and live together with my partner, they just couldn’t believe it. After seeing this I organized a lesbian camp where teens and adults can communicate.

Susu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Susu

June 4, 2010
Hongdae Toz, Seoul, Korea

Susu: My name is Susu. I am not involved with any organization, I work independently. My activism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art and culture of sexual minorities, but also with everything that relates to my life and my identity.

Carlos Motta: Can you explain more about the type of work that you do regarding culture and art?

S: In 2003, the Korea Association for History of Modern Art held a symposium called Homosexuality in Art. All the artists they discussed were male, mostly Western, white, and gay: American photographers such as Robert Mapplethorpe and a couple of Korean male artists. I thought this was problematic, so I invited several lesbian or bisexual artists and curated a show. Later on in 2005 I organized another exhibition with lesbian artists and nowadays, I am running a radio program introducing Korean women artists whose works focuses on sexuality, called Myoangeoul. It is broadcasted on L-Yangjangjeom [L stands for Lesbian, and Yangjangjeom means boutique], the one and only lesbian radio station of Korea. 

CM: How have Korean art and culture approached homosexuality and queerness historically? 

S: A discourse on sexuality was first introduced to the institutionalized art history in 1995 during the Sexual Politics Culture Fest, and the word “homosexuality” in 1996. The discourses of feminism and postmodernism we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and artists who had studied in the USA or the UK started producing works influenced by these theories. These backgrounds brought forth issues of homosexuality in Korea, a current which later on lead to the symposium that I mentioned before. 

In Korea, film studies have eagerly discussed homosexuality. Movies like Farewell My Concubine or The Crying Game opened up this conversation. In fact, these movies made a deep impression to most LGBT people in their 20s or 30s; they had greater influence to the community than any art or literature.

CM: How does this influence manifest itself in the formation of community or artistic groups or in the proliferation of content relating to homosexuality?

S: LGBT people lacked the language to could express themselves. Korea’s gender norms were very stern and especially the idea that one should love the opposite sex. In other words, it was thought that sexual reproduction is an obligation for every human being. So in the 1970-80s, the question that women loving women asked themselves wasn’t “Am I a lesbian?” but rather, “Am I a man?” But by watching movies that treated homosexuality openly, they were able to obtain that language. They were able to name their identities. A woman can love another woman, one can be a lesbian! After that, they were able to come out to themselves.

CM: Is there currently art production in Korea that is addressing these issues? Is there a queer art scene?

S: Yes, I guess, but it is not part of the mainstream. Most queer artists are kept in the dark. Only a couple of gay artists are invited to large scale exhibitions held at national museums; and even they are not perceived precisely as queer artists dealing with homosexuality, but simply as individual artists who have their own unique style. 

CM: Can you pick one of these individual artists and explain the content of his or her work?

S: There is Oh In-hwan, whose work focuses on the invisible presence of gay sexuality. One of his works is about old gay bars in Jongno, which are more than a hundred of them clustered, but hidden. He spread out a map on the floor and placed incense or scented objects on the spots that corresponded to the locations of the gay bars. He used smell to express the invisible. Another work by him is a poster for a holiday party he had with his gay friends. The guest list is written on it, but because their names couldn’t be legible, all names are blacked out. The core of Oh In-hwan’s work is showing the unshowable.  

CM: What is the reception of his work in the Korean art scene and in the main stream? How do people relate to it?

S: Oh’s work is normally understood as postmodern art. His works are read as interactive and participatory projects; art that goes beyond the borders of visuality... However, it is not so much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general queer culture or history.

CM: Does his work respond to a legacy of queerness? Is Oh In-hwan, for example, responding to the history of feminist art in Korea? How is his work related to previous art that addressed issues of gender and sexuality?

S: There is a certain legacy, I am sure. But the people, who actually experienced that legacy, critiqued and contextualized the art scene based on issues of gender and sexuality are no longer in the field, for example Lim Jung-hee or Oh Hye-ju. There is a gap between them and us, so the legacy hasn’t been passed on. We need critics who can understand artists’ works and aesthetics within the flux of history, but they are disappearing one by one.

Also when a new discourse comes in from overseas, for instance post-colonialism, every critic uses it as his or her methodology; and if it doesn’t really fit in, they look for another discourse. So all the feminism-related works are scattered about, not being able to form a stream. Artists like Oh In-hwan himself must have seen some of those works without understanding their significance. 

This may be the result of Flunkeyism, but I think it is more of a structural problem of the Korean art scene. There seems to be a tendency to evaluate art work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hey receive outside Korea; whether they made the country proud at international biennales or whether they sold well overseas... 

CM: So the content of the artist’s work proper is not that acknowledged?

S: Global recognition counts more than the content itself. It becomes almost impossible for young queer artists to continue doing work on sexuality, gender or feminism, because the evaluation of the work always shifts along with new trends and does not maintain a consistent context. If your work isn’t applicable to the latest discourse, there is no place for it in an exhibition. Artists are bound to consider adapting their work to this mold.

In addition, the government started to support public art, and now all funds are concentrated on that field. But public art mainly consists of collaborative work with the residents of local communitie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treat homosexuality in these communities unless a very secure and open culture of trust is formed. This not being the case, artists working with themes related to homosexuality are almost always ruled out.

CM: Is there some theorizing around these problems from the part of artists? 

S: Between lesbian and gay artists, there are some that are working in the public art scene. These blend sexuality and gender issues into their larger work, not directly but in a roundabout way. They are trying to find an alternative way to express these issues, even if this means postponing their personal ambitions. 

CM: Is anyone problematizing the lack of queer and gender issues in Korean culture?

S: No one in the institutionalized art scene, but quite a few in the film business. There are organizations such as the feminist film activist group WOM, or Pinks, a collective for sexual minority culture. The work of these groups is presented at independent film festivals, like the Seoul Women's Culture Festival or the Human Rights Film Festival. These works are distributed to the public, awarded at international festivals and financially supported by many institutions. Film critics like Park Jin-hyeong and Seo Dong-jin are actively critiquing and theorizing queer film. The Queer Culture Festival originally started as film festival too.

CM: What is the role that Academia (universities and art history programs) plays in theorizing queer issues? Is there something like queer or gender studies in Korea? And what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academia and the art scene?

S: Park Jin-hyeong lectured on queer films at the Graduate School of Media Studies in Yonsei University and departments specializing in gender theory exist in several universities, such as Ewha, Sogang and Yonsei. But academic theorizing doesn't necessarily involve the arts. Gender theory and queer culture studies mostly focuses on movies or popular culture, and not so much on art. The theorizing of queer art is left to the art world. 

CM: I also understand that you are interested in teenagers and teen culture. Can you speak about your involvement with these issues?

S: I began to develop an interest in sex trade. I counseled runaway teen girls at the Seoul Resource Center for Young Women, and naturally came across sexual minority teens. Korean society can be a very vicious place for teenage women, especially when they are runaways. While meeting these girls, I heard that a lot of them run from home because of sexuality issues. So I started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eenage sexual minorities. 

At first, it was very difficult to get in touch with them. There is a break between generations, that is, between adults and teenagers in the Korean lesbian community. Even until the early 2000s, media contents containing words like "lesbian" and "homosexual" were labeled as "harmful to minors" by the government, prohibiting its access to young people under 19. So adult communities have avoided teenagers; if they accepted them, they would receive penalties.

Also, from the 1990s to the 2000s, a common culture among teen girls was "fanfics": fictions written by teenage fans that portray gay male pop stars. A lot of straight young women read fanfics too, but among them, there are those who actually on the course of self-identifying as queer. But the common conception of lesbianism in Korea is that it is a misjudgment; that it is really friendship mistaken as love that it is a premature phase, which will eventually lead to heterosexuality. So much, that even grown-up lesbians think teen lesbians are still premature and, so to speak, hasty on deciding their sexual orient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ot unusual that a gap has formed between generations.

So I had a hard time meeting runaway lesbian or bisexual teens. I had no idea where they were, how I could meet them. Then I finally found them at Shinchon Park. Teenage "Ivans" gather there every Sunday, in large numbers, I must say, creating a sort of ghetto culture. 

CM: What is the kind of work that you do with these queer teens?

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hich was funded by the city of Seoul, was to plan a social security service for runaway teenagers. I asked the girls the reason they ran away from home, and whether they were discriminated in their homes or schools due to their sexuality: If they received bad grades or if they dragged to mental hospitals, for example. I interviewed about 170 teens. I didn't just hand out surveys but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I went to the café that the girls open every Sunday at Shinchon Park, worked together with them and learned their culture and their needs.  

Teenagers that run away because of issues of sexuality face many difficulties in Korean group homes, which for the most part are gender segregated. So when teen lesbians enter group homes and they have relationships or make love with other girl roommates, it really perplexes the instructors and also makes it hard for the girls to feel "at home" in these places. But they can’t they return home.  Their parents, thinking their child is crazy, send them to hospitals, and in some extreme cases, lock them up. They need a separate, safe and secure place to live. 

We provide them temporary shelter and financial support. We also help them find jobs so that they can lead an independent life. After they get jobs, we give them advise on the problems they could experience at work. Many incidents occur at workplaces: they get fired for being lesbians; the employers threaten to tell their parents where they live, so as to cut their pay or to demand sexual favors. Our work was supposed to stop with the research, but after seeing that actual support and counseling were urgent, we extended the plan. Work opportunities, separate shelters, safe schools, freedom from home are all essential. 

When I first met the teenagers, they asked me how old I was, and whether I was a lesbian. I told them I am a lesbian in my 30s. They were so shocked! These girls had never imagined, not even once, that there could be lesbians older than them that live as a lesbians and are appreciated for who they are. They thought they would turn "normal" in their 20s. When I told them that I still love women and live together with my partner, they just couldn’t believe it. After seeing this I organized a lesbian camp where teens and adults can communicate. 

CM: What would you say is the greatest challenge for the teen LGBTQ community now and what is the life that they can hope to have in the future?

S: Teenage Ivans yearn for an independent life from a very young age. But there are still many obstacles. Teenagers in Korea do not have any authorized civil rights as individuals, like labor rights. Moreover, sexual minority teens lack contacts with other teen organizations. I think it is important that these young people have a free and secure space to be themselves. It is also crucial that they speak up in the LGBT movement and gain strength and empower themselves. There are a couple teen activist groups; but there needs to be more.  

The life they can hope for... That reminds me of a very moving experience I had. A girl I first met at Shinchon Park and later came to work with me, told me that when she grows up and makes a lot of money, she wants build a nursing home for elderly lesbians; that she wants take care of lesbians when they get old. In Korea, it is very difficult to live life once you part away from your family. But this girl, who left home at a young age, is trying to build a new family for herself by taking care other lesbians. We need to think more about these new forms of communities.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처음 만났을 때 십대들은 제게 몇 살인지, 레즈비언인지 물어봤어요. 그래서 제가 30대 레즈비언이라고 하자 “30대에도 레즈비언이 있냐”며 다들 놀라는 거에요. 이 친구들은 단 한번도,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레즈비언이 있다는 것, 레즈비언 정체성을 갖고 평생 살아가면서 세상에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상상하지 못했던 거에요. 그저 20살이 되면 일반인이 되어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 거죠. 그래서 제가 30대가 되어서도 여성과 사랑하고 파트너와 같이 산다는 이야기에 충격을 받았어요. 그래서 십대들이 다른 세대 레즈비언들과 서로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갖는 캠프를 마련했었죠.

수수와의 인터뷰

2010년 6월 4일
홍대 TOZ, 대한민국 서울

Susu: 전 수수라고 해요. 어디 소속된 곳 없이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어요. 하지만 독립 활동가라는 말이 나한테 썩 어울리지는 않는다고 생각해요. 성소수자와 미술, 문화 관련 활동을 주로 하고 있지만, 내 삶과 정체성이 연관되는 일이 있으면 가리지 않고 해요.

Carlos Motta: 문화 및 미술과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고 계시나요?

S: 대표적으로는 2005년에 레즈비언 작가 전시를 했어요. 그 전에 한국 현대미술사학회에서 현대<미술 속 호모섹슈얼리티>라는 심포지엄을 열었는데, 소개되는 작가들이 젠더적으로 다 남성, 그것도 서구 백인 게이 작가들 중심이었어요. 메이플소프 같은 미국의 사진작가들, 그리고 한국의 남성 작가 두세 명 정도에 대한 글들이 발표되었죠. 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서, 레즈비언 작가, 바이섹슈얼 작가 등과 함께하는 전시를 기획했어요. 요즘에는 한국에서 섹슈얼리티를 주제로 작업하는 여성 작가들을 소개하는 라디오 방송을 하고 있어요. L양장점이라는 한국의 유일무이한 레즈비언 방송에서 묘안거울이라는 코너를 진행하고 있죠.

CM: 한국 미술과 문화 내에서 호모섹슈얼리티나 퀴어성이 갖는 역사적 배경을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예전에도 한국 문화와 미술에서 이런 이슈들이 표현되었나요?

S: 제도 안 미술사에서 본다면 1995년 성정치 문화제 때 섹슈얼리티 담론이 학계 제도 안에 소개가 됐고, 호모섹슈얼리티라는 말은 1996년 초 중반부터 사용되었어요. 이후 미국의 페미니즘 담론,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이 한국으로 들어오고, 미국이나 영국에서 유학한 작가들이 작업을 하기 시작하면서 점차적으로 많이 이야기되기 시작했어요. 그러면서 위에서 말한 심포지엄이 열리기도 했죠.

그 외에도 한국에서는 영화 분야에서 호모섹슈얼리티가 자주 다루어졌어요. <패왕별희>나 <크라잉 게임> 같은 영화들이 등장하면서 논의가 시작되었죠. 실제로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있는 2-30대 LGBT들에게는 이런 영화들이 기억에 많이 남아있어요. 제도 미술이나 문학보다 영화가 커뮤니티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친 것 같아요.

CM: 말씀하신 영향들로 인해서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S: 그 전에는 커뮤니티 사람들이 자신을 설명할 말이 없었어요. 한국은 젠더 규범이 굉장히 강한 나라고, 특히 이성을 사랑해야 한다는 생각이 굉장히 강했어요. 재생산을 해야만 인간 구실을 한다고 생각하는 거죠. 그래서 7-80년대에는 여자를 사랑하는 여자는 “내가 레즈비언인가?”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혹시 남자가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었어요. 그런데 호모섹슈얼리티를 다룬 영화들을 보면서 내 젠더 정체성이 여성일지라도 또 다른 여성을 사랑할 수 있다는 언어, 레즈비언이라는 언어를 얻게 된 거죠. 그러면서 자기 스스로에게 커밍아웃하게 되었고요.

CM: 한국에서 이런 이슈들을 발언하는 작품들이 만들어지고 있나요? 퀴어 아트 씬이라든가.

S: 있다고 볼 수 있죠. 하지만 주류도 아니고, 대다수의 작가들은 가시화되지 않고 있어요. 2-3명의 게이 작가 정도만 시립미술관이나 국립미술관에서 하는 큰 규모의 전시에 초대되죠. 이들도 퀴어 아트, 또는 한국 현대미술에 호모섹슈얼리티를 제언하는 흐름으로 읽히기보다는 그냥 독특한 개인 작가로 묶이고 있어요.

CM: 그 작가들 중 한 사람을 골라서 어떤 작업을 하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S: 오인환이라는 작가가 있는데요.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게이 섹슈얼리티를 주로 다루었죠. 예컨대 한 작품은, 백 개 넘게 모여있지만 숨겨져 있는 종로의 역사 깊은 게이바들을 보여주는 것이었어요. 지도를 바닥에 깔고, 게이바들의 위치에 향을 꽂거나 냄새가 나는 물건을 놓는 등, 비가시적인 게이 섹슈얼리티를 후각을 통해 표현한 거죠. 또 다른 작업은 게이 친구들과 함께한 연말 파티의 포스터를 그린 것이었어요. 초대받은 사람들의 명단을 적어놓았지만, 이름을 밝힐 수 없기 때문에 다시 이름을 지우는 거죠. 이렇게 가시화되지 않은 것을 드러내는 작업들을 주로 했어요.

CM: 한국 미술계와 주류 미술계에서는 오인환의 작품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위치시키나요?

S: 오인환의 작업은 주로 포스트모던 미술 중 하나로 받아들여져요. 관객들이 직접 참여하는 인터액티브한 미술, 시각중심성을 벗어난 새로운 형식의 미술 등으로 평가하죠. 하지만 전체 퀴어 역사 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는 잘 분석되지 않는 것 같아요.

CM: 그의 작품이 받아들인 일종의 유산이 있나요? 달리 말하면, 예컨대 한국의 페미니즘 미술에 답하고 있는 건가요? 오인환 같은 작가, 그리고 현대 미술계는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다루어온 미술사의 흐름과 어떻게 관계 맺고 있나요?

S: 물론 그런 유산들이 있죠. 하지만 한국에서 젠더나 섹슈얼리티와 관련해서 비평하고, 맥락화하고, 직접 미술 씬을 경험했던 사람들이 이젠 많이 사라졌어요. 임정희 선생님이나, 오혜주 선생님 같은 분들. 그래서 흐름이 단절되고, 그 유산이 잘 전달되지가 않아요. 역사적 흐름 속에서 작업과 작업의 미학을 볼 수 있는 비평가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비평가들이 계속 없어지는 거죠.

또 외국에서 다른 이슈들, 예를 들어 포스트식민주의 등이 들어오면 모든 비평가들이 그것을 도구로 삼아 설명해요. 포스트식민주의로 설명되지 못하는 부분은 또 다른 새로운 이슈로 설명하고…… 그래서 페미니즘과 관련된 한국의 흐름들이 일관성 있게 정리되지 못한 채 맥락이 끊어지고 말아요. 아마 오인환 같은 작가들도 이전 작품들의 의미를 완전히 정리하지 못한 상태로 받아들였을 거에요.

이는 사대주의의 영향도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한국 미술계의 구조적인 문제인 것 같아요. 우리나라 미술에 대한 평가를 내부에서 찾지 않고 외부에서 얼마나 인정하느냐를 토대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어요. 예를 들면 누가 비엔날레에서 국위선양했는지, 누구 작품이 제일 많이 팔렸는지 등이 중요한 기준으로 작동을 하는 거죠.

CM: 그러면 작가가 한 작업의 내용은 별로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는다는 건가요?

S: 맞아요. 내용보다는 얼마나 인지도가 높은지가 더 중요하게 생각되는 거죠. 그래서 젊은 퀴어 작가들이 자기 섹슈얼리티나 젠더, 또는 페미니즘 관련 작업을 계속할 수 없어요. 작업에 대한 평가가 그런 일관된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매번 새로운 담론에 따라 바뀌니까요. 새로운 담론의 틀에 맞지 않으면 작품을 전시에 낼 수가 없는 거죠. 그러면 작가는 자기 작업을 그 틀에 맞추어야 하는 건가 라고 고민할 수밖에 없어요.

게다가 정부에서 공공미술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공공미술에 참여하는 작가들에게만 지원금을 몰아주고 있어요. 하지만 요즘 공공미술은 주로 어떤 커뮤니티에 들어가서 주민들과 함께 작업하는 거거든요. 충분히 안전한 문화가 아닌 이상, 그 안에서 호모섹슈얼리티를 갖고 작업하는 것이 굉장히 힘들어요. 그래서 호모섹슈얼리티를 다루는 작가들이 지원 선정에서 배제가 돼요.

CM: 작가들 스스로가 이런 문제들을 이론화하고 있지는 않나요?

S: 레즈비언이나 게이 미술가들 중 장기적인 전망을 갖고, 공공미술 현장에서 간접적으로 자신의 섹슈얼리티나 젠더와 관련된 작업을 녹여내려는 개인들은 있어요.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으니까요. 자신의 작업을 유보하면서 공공미술 공간 안에서 풀어낼 방식을 고민하고 있죠.

CM: 한국 문화 내에 퀴어 이슈나 젠더 이슈가 부재한다는 점을 문제 삼는 사람은 있나요?

S: 미술 제도 안에는 확실히 없지만, 영화 쪽에는 많이 있는 것 같아요. 여성영상집단 움이나 성적소수문화환경모임인 연분홍치마 등의 액티비스트 영화를 만드는 단체들이 있죠. 이들의 작업은 서울여성문화제나 인권영화제 같은 독립영화 분야에서 시작해서 유통 및 배급도 되고 있고, 국외에서 상도 받고, 지원도 받고 있어요. 그리고 박진형 씨나 서동진 씨처럼 퀴어영화를 비평하고 이론화하는 사람들이 있고요. 퀴어문화축제도 처음에는 퀴어영화제로 시작했었어요.

CM: 그러면 아카데미나 대학, 미술사 기관들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퀴어 애슈에 관한 이론화 작업, 그러니까 퀴어학이나 젠더학이 이루어지고 있나요? 그리고 대학과 미술 씬 간의 관계는 어떤가요?

S: 얼마 전에 박진형 씨가 연세대학교 미디어학 대학원에서 퀴어영화 관련 강의를 했었다고 해요. 제도 안에서 젠더 이론을 하는 과도 이화여대나 서강대, 연세대 등에 있고요. 하지만 문화와 미술은 이론 작업 상에서 많이 분리되어 있어요. 젠더 이론이나 퀴어 문화를 다루는 아카데미는 영화나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다루고, 미술계 내의 움직임들은 많이 다루지 않아요. 미술의 이론화는 미술계 내에서 따로 이루어지죠.

CM: 청소년과 청소년 문화에도 관심이 있으시다고 들었는데요. 이런 방면으로 어떤 활동을 하고 계신가요?

S: 그건 성매매에 대해 관심에서 시작했어요. 서울시의 늘푸른여성지원센터에서 가출한 십대 소녀들을 상담하다가 가출한 성소수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되었죠. 한국사회에서 십대 소녀들, 특히 가출한 십대들은 매우 취약해요. 이들과 상담을 하다가, 이들 중에 자기 섹슈얼리티를 가지고 고민하다가 집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죠. 그래서 십대 성소수자들의 실태를 조사하는 일을 맡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이들과 만나기가 매우 힘들었어요. 왜냐하면 한국 레즈비언 커뮤니티 속에는 일종의 세대 단절, 성인과 비성인 간의 단절이 있거든요.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레즈비언”, “호모섹슈얼”이란 말이 들어가면 청소년 유해매체로 분류하고 19살 이하의 접근을 금지하는 법이 있었어요. 그래서 20대 이상의 커뮤니티에서 10대들을 멀리했죠. 이들을 받아들이면 처벌을 받게 되니까요.

한편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까지는 팬픽이라는 십대 여성들의 문화가 있었어요. 주로 아이돌들을 게이로 묘사하는 십대들이 쓰는 소설이죠. 일반 십대들도 많이 즐겼지만, 실제로 이 팬픽 커뮤니티 안에는 자기 섹슈얼리티로 고민하고 이반으로 정체화하는 십대들이 많이 있었어요. 하지만 한국에서는 레즈비언들의 정체성을 하나의 섹슈얼리티로 이해하고 인정하기 보다는 여성들 간의 우정을 사랑으로 착각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이성애로 가는 과정에 있는 미성숙한 관계라고 생각하는 거죠. 성인 레즈비언들조차도 십대들이 성숙하지 못한 상태라고, 너무 섣부르게 자기가 레즈비언으로 여긴다고 봤어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세대가 갈라진 거죠.

그래서 십대의 가출한 이반들, 레즈비언들이나 바이섹슈얼들을 매우 어렵게 만났어요. 다들 어디에 있는지, 어떻게 만나야 하는지 몰랐으니까요. 그러다가 서울의 신촌공원에서 그 친구들을 만나서 실태조사를 할 수 있게 되었죠. 일요일마다 십대 이반들은 신촌공원에서 엄청난 규모의 모임을 열어요. 일종의 게토 문화인 거죠.

CM: 퀴어 청소년들과 주로 하시는 일은 어떤 건가요?

S: 가출한 십대 친구들에게 맞는 사회복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실태조사를 했어요. 조사의 내용은 이 친구들이 왜 집을 나오게 되었는지, 혹시 가정이나 학교에서 섹슈얼리티와 관련해서 불평등하거나 불편한 대우를 받지는 않았는지, 예를 들어 성적의 불이익을 받거나 정신병원에 끌려가거나 하지는 않았는지 등이었어요. 약 170명 정도를 대상으로 면접 조사와 설문 조사를 했죠. 단순히 설문지만 돌린 것이 아니라 직접 신촌공원에서 일요일에 열리는 일일찻집에 참여하고 문화를 알아가는 참여 관찰을 했어요. 그러면서 십대들의 요구를 파악했죠.

섹슈얼리티 때문에 가출한 청소년들은 한국의 십대 대상 쉼터를 좀 곤란해 해요. 대부분의 쉼터는 여자용과 남자용으로 구분되어 있거든요. 여자쉼터에 가도 그 안에서 연애하고 사랑하고 같은 방에서 지내는 거죠. 그래서 관리하는 사람들도 당황스러워 하고, 십대들도 그곳을 쉼터로 받아들이기 힘들어 해요. 그렇다고 집에 돌아가면 부모들이 아이가 미쳤다고 생각해서 정신병원에 보내기도 하고, 가끔은 감금하기도 하고요. 이들이 지낼 수 있는 독립적이고 안전한 곳이 필요한 거죠.

이런 친구들에게 임시적으로 살 수 있는 공간을 소개해주고 금전적인 지원을 해줘요. 뿐만 아니라 일자리 얻는 것을 도와줘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죠. 취직을 하면 생기는 문제들에 대해서 상담도 해요. 섹슈얼리티 때문에 해고를 당하기도 하고, “네가 여기 있다는 걸 부모한테 알리겠다”라는 협박을 받아 임금을 깎이거나, 성적 거래를 제안 받기도 하거든요. 원래는 실태조사만 하기로 했었는데, 상담이나 지원이 너무 절실하다는 것을 알고 함께 하게 되었어요. 노동의 기회, 독립된 주거, 안전한 학교, 집으로부터의 자유 같은 것들이 너무나 필요했어요.

처음 만났을 때 십대들은 제게 몇 살인지, 레즈비언인지 물어봤어요. 그래서 제가 30대 레즈비언이라고 하자 “30대에도 레즈비언이 있냐”며 다들 놀라는 거에요. 이 친구들은 단 한번도, 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레즈비언이 있다는 것, 레즈비언 정체성을 갖고 평생 살아가면서 세상에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상상하지 못했던 거에요. 그저 20살이 되면 일반인이 되어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 거죠. 그래서 제가 30대가 되어서도 여성과 사랑하고 파트너와 같이 산다는 이야기에 충격을 받았어요. 그래서 십대들이 다른 세대 레즈비언들과 서로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갖는 캠프를 마련했었죠.

CM: 마지막으로, 현재 LGBTQ 청소년들의 가장 큰 장애물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이 미래에 어떤 삶을 바란다고 생각하시나요?

S: 십대 이반들은 어렸을 때부터 독립적으로 살기를 원해요. 하지만 그러기에는 제약이 많죠. 한국에서 청소년들은 노동할 권리를 비롯해서 시민 주체로서의 권리들을 전혀 인정받지 못하거든요. 특히 성소수자들은 다른 십대들과의 네트워크도 부족하고요. 이들이 좀 더 자유롭게, 자신을 긍정하면서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또 이들이 LGBT 운동 속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스스로 힘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고요. 요즘 십대 이반들의 운동단체가 생기긴 했지만 더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십대 이반들 간에도 성별이나 섹슈얼리티에 따라 차이가 많이 있거든요.

십대들이 원하는 삶과 꿈은 다 다르겠죠. 그런데 제가 감동받았던 일이 하나 있어요. 처음 신촌공원에서 만나 같이 활동한 친구가, 자기는 돈을 많이 벌어서 나이든 레즈비언들을 위한 요양원을 만들 거라고 했어요. 그래서 나중에 나도 모시고, 자기 주변에 갈 곳 없는 레즈비언들을 보살피고 싶다고요. 한국에서는 가족을 벗어나면 생존하기가 굉장히 힘들어요. 하지만 가족이란 개인을 강력하게 지지하기도 하지만 몰아내기도 하죠. 그런데 어렸을 때부터 이미 가족들 손밖에 있었던 이 친구가 스스로 다른 레즈비언들을 돌봄으로써 자기 가족으로 만들려고 하는 거에요. 이런 공동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 같아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