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PARK Kiho

Go to part: 1 2

Confucianism, family values, patriarchy, nepotism, regionalism… are all mixed into one big force that sways around the lives of individuals. We don't deal with these issues separately; rather, our goal is to find the key that will dismantle and incapacitate the whole.

PARK Kiho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PARK Kiho

May 31, 2010
Chingusai Office, Seoul, Korea

PARK Kiho: My name is PARK Kiho; I am 41 years old and live in Korea. We are at the offices of Chingusai [Between Friends], a Korean gay rights organization where I am the director. Chingusai's core members are gay men and our activities focus on promoting sexual minority human rights, developing cultural diversity and human rights sensibility, etc. I first started working in this field in 1996 as a volunteer for the first Korean Queer Film Festival. A couple years later I worked at the Korean Queer Culture Festival. At that time it was almost impossible to earn a living doing this sort of activities, so I spent half a year working side jobs and the other half organizing and holding the festival. About 4 years ago my mind and body felt somewhat beaten down so I took a year rest. After that I came where I am now.


Detail of Chingusai's Homepage 

CM: Can you describe the soci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in Korea that lead to the formation or the need for an organization of this kind? 

PK: Chingusai started as Chodong-hoe and was founded in 1993. The name "Chodong" is made of the initials of a Korean saying: "All that is blue is alike" [meaning those who live by each other share the same qualities]. It represented both gays and lesbians but after three months it branched into Chingusai for gays and Kkirikkiri [We Alike] for lesbians. We thought that separating would better represent the needs of each community. We went through a lot of difficulties during the founding period because homosexuals then rarely revealed themselves in public. There was very limited media coverage of homosexuality; it was limited to the small gossip sections. But a more liberal social atmosphere was made allowing people to talk about sexual diversity and culture, and sexual minorities began to recognize that they could not stay closeted. Some activists, though few, came out. After that the community took form.

CM: During the moment of the sexual revolu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mainly in the late 1960s and 1970s, what was happening here? Are there any early precedents of any kind of organization or articulation of sexual difference, rejection of tradition, etc.? Or it all began here in the 1990s?

PK: In fact there were, in the 1960s and 1970s, several groups such as the Sexual Politics Committee or the Sexual Politics Party. They played leading roles in changing common perceptions of homosexuality and served as a basis of future sexual minority groups. But they remained unpopular. Most of the activists agree that the foundation of Chodong-hoe in 1993 was the starting point of Korea's sexual minority rights movement.

CM: This might seem obvious to you, but could you describe the soci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that the LGBT community has faced in South Korea historically? If the movement was founded in the 1990s, what has changed in society, so that a movement of this kind could be formed?

PK: The lives of sexual minorities were tormented. They desired to be set free from all of this but no visible changes took place. It was only after people formally engaged in student movements and entered public life that sexual minority communities gained substantial momentum.

CM: So the movement consolidated itself as a political organization, more than a community resource? 

PK: I guess it was the other way around. At the initial stages of Chingusai, public utterance or public works weren't the main issue. The places where sexual minorities, especially homosexuals, could gather or communicate were simply bars and such, but there were no public places to reveal ourselves and speak out. Our priority was to create such a space. We gathered in Seoul all the sexual minorities closeted in local communities. When this effort made some outcomes, we started talking about public issues.

CM: I suppose the organization has a political goal, or is that besides the ques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politics? In other words, do you want to affect change at the level of the law?

PK: Chingusai is a rather unique organization. Some of us are regular workers here and are ful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but our main goal is to guide gay people so they can develop a sensibility for human rights and self-esteem, and hopefully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vism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rather than acting as a political group altogether, we provide the conditions for individual members  to develop new self-perceptions.

CM: Can you describe the trajectory and the societal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Can you name specific things that you see reflected out in society? Do LGBT people have a better life now given the work that you have begun?

PK: I get that question very often: "What changes have been made in people's lives since you have started this?" But it is always very difficult to answer because those changes aren't quite apparent. Korea is a Confucianism-dominated and male-dominated society. Unlike in Western nations there has been no law or system newly made that could prove the actual improvement of lives of sexual minorities. Nothing legal has changed in the past 20 years. The changes that are visible to us are more at an unofficial level: Chingusai's office is much larger than before, more people visit us, and more people are speaking out... Now there are six or seven more groups like Chingusai, and the number of clubs, blogs and websites where sexual minorities can express themselves have explosively increased.

CM: For somebody from the outside to understand the local context, what would you say are the most pressing challenges that this community faces?

PK: Sexual minorities in Korea can't reveal themselves. Organizations like ours can help the people who come out, but we can't protect their entire personal lives. From the very moment of coming-out, the individual has to face all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They may be solely economic disadvantages, but mostly they accompany family and friend relationship problems. Ruptured relationships make individuals vulnerable; risking this it is not an easy choice to make. I guess this is the number one problem. Queer communities in Korea are trying to build self-respect and pride among sexual minorities, while widely informing the general public. Also a lot of groups are fighting for legal rights, especially for the new Anti-Discrimination Act that is to be legislated in October to include an article dealing with sexual orientation.

CM: You already mentioned that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also perhaps the idea of family values are very strong. What kind of strategies are you using or thinking about in order to combat these two major forces, which seem to be the ones that are making the  LGBTQ community remain invisible?

PK: These two don’t function independently from one another. Confucianism, family values, patriarchy, nepotism, regionalism… are all mixed into one big force that sways around the lives of individuals. We don't deal with these issues separately; rather, our goal is to find the key that will dismantle and incapacitate the whole. And we are still searching. Chingusai thinks of “coming out” as one of the major tactics and is trying to create a coming-out-friendly environment. Another important project is deconstructing the concept of the family and redefining it with a new language. The family may be the very key to resolving these issues. Some members of Chingusai actually try out new family models.

CM: The idea that you are mentioning echoes the internationalist model of LGBT politics. 

PK: I guess that is right. 

CM: Is that your role model? Do you think those tactics are effective in a context that seems to be so culturally repressive?

PK: Despite all, I will have to agree that we need to learn from Western discourses; they have more variations and therefore they can more efficiently analyze or explain the present lives of sexual minorities. But all the historical stages that Western societies went through step by step, didn’t take place in Korea. Everything was imported at once somewhat recklessly, after which the Korean queer community faced a complex situation: our actual lives are still oppressed, but the media is flourishing with images of an open society. To really change people's lives, it is crucial to adapt Western discourses to the Korean terrain;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adapting and re-creating.

CM: I am interested in knowing your opinion about this statement: It seems like being gay, lesbian, bisexual or transgender as a category is a modern concept. In other words, it is something that exists within the framework of a specific set of political actions and the cultural motivations that have taken place internationally. So in that sense, is being “LGBT” an international category?

PK: Who was that Hungarian psychologist who coined the word "homosexual"? Personally, I think naming, identifying people as gay, lesbian, bisexual or transsexual is what makes divisions visible, and what brings abou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Before categories, we couldn't distinguish sexual identities, which made it so much better to live among others. Modernization and specialization created private lives, and this led to discrimination.

CM: These categories might pigeon hole us and consequently create discrimination, but at the same time, those categories are the ones that have allowed for political empowerment, correct? In the sense that it is not only about self-perception and self-representation, but it is also about having the same civil rights as everyone else, being able to marry, being able to live as a couple, etc. 

PK: When we discuss the Anti-discrimination Act, some think that we should define discrimination category-by-category, case-by-case, while others seek for a more global, synthetic law. In my opinion, the process would be too slow and too tough if we considered all differences... We need to approach this with a broader "human" concept to be effective.

CM: Do you think that there is such a thing as being a gay Korean or a gay Colombian? Or do we exist within a frame that is completely determined by a global understanding of sexual politics?

PK: There are global difficulties simply by being a sexual minority, no matter in what region or state, and also those which differ from region to region. Surely there are issues that can't be standardized with the global context. For example, gay Americans don't feel the obligation to take care of their aging parents in their homes, but gay Koreans do. And they feel tremendous guilt if they aren't able to do so because they are gay. It is not just about one person; it is about your immediate community. I most certainly think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nations, states or races.

CM: We are faced again with the issue of tradition... How do you reconcile the necessity to enact political empowerment on the one hand, and to face the strong divisions that are a consequence of cultural tradition o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being a political agent and being a good citizen within a traditional society is something that is irreconcilable.

PK: Actually it can be. Of course it won't be easy, as a gay man living in Korea, to take care of your own parents and also live a politically correct life. But that doesn't mean that tradition and history are bound to be bad and are something isolated from contemporary values. We need to conciliate and harmonize the advantages of tradition and the ones of the contemporary. For instance, if we go back to taking care of our parents, government intervention can unload the pressure of individuals who are having problems due to this issue. If the government provides some sort of facility or accommodation to take care of elderly people, parent-son conflicts won't have to lead to relationship ruptures. I think it is right to harmonize tradition and our present times, and that is what I am trying to do. 

Weblink: Chingusai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유교중심주의, 가족주의, 가부장제, 혈연이나 학연 중심주의, 지역주의 등이 하나로 뭉쳐서 개인의 삶을 좌지우지하죠. 그렇게 때문에 각각의 사안에 맞추어 대응하기보다는 이 전체를 해체하고 무력화시킬 수 있는 키워드가 무엇인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어요.

박기호와의 인터뷰

2010년 5월 31일
친구사이 사무실, 대한민국 서울

Park Kiho: 저는 한국에서 살아가는 박기호고, 올해 41살입니다. 지금 여기는 제가 사무국장으로 일하고 있는 한국 게이인권 운동단체 친구사이 사무실이에요. 친구사이는 한국의 남성동성애자들이 주축이 되어 성소수자들의 인권과 문화 다양성, 인권감수성 등의 향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어요. 저는 1996년 한국의 첫 퀴어 영화제 때 자원봉사자로 참여하면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고, 2년 후부터 한국퀴어문화축제를 진행했어요. 당시만 해도 이런 일로 월급을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6개월 동안은 돈을 벌고 나머지 6개월은 축제준비와 진행을 했죠. 그러다가 4년쯤 전에 몸과 마음이 좀 힘들어져서 1년 정도 쉬다가 친구사이에서 다시 일을 하고 있어요.

Carlos Motta: 한국의 어떤 사회적, 정치적 환경 때문에 이런 단체가 만들어진 건가요?

PK: 친구사이는 1993년에 창립된 초동회라는 단체에서 시작했어요. 초동회는 "초록은 동색이다"라는 한국 격언의 앞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고요. 처음에는 게이와 레즈비언 모두가 참여했지만 따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론 하에, 3개월 후 남성중심으로 활동하는 친구사이와 여성중심으로 활동하는 끼리끼리라는 단체로 분리되었어요. 처음 단체를 만들 때에는 동성애자들이 공적 영역에 자신을 밝히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많이 힘들었죠. 언론에서는 잡스러운 이야기를 다루는 "쓰레기통" 같은 가십란에나 동성애자들이 거론됐고요. 하지만 다양한 성과 문화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성소수자들이 자기 자신을 감출 수 없다는 인식의 기반이 자리 잡으면서 적은 수지만 몇몇 활동가들이 커밍아웃을 시도했어요. 그러면서 커뮤니티가 조직되었죠.

CM: 미국과 서구에서 성 혁명이 이루어지고 있던 시기, 주로 6-70년대 쯤에 한국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나요? 성차, 전통의 탈피 등을 목표로 하는 단체나 움직임이 있었나요? 아니면 90년대에 이런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건가요?

PK: 6-70년대 한국에서도 성정치위원회라든가 성정치일당 등이 발상의 전환을 이끌고 성소수자 단체들의 기반을 마련하긴 했지만 크게 대중화되지는 못했어요. 지금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은 거의 다 초동회가 만들어진 1993년을 성소수자 인권운동의 시작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CM: 좀 뻔한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역사적으로 한국에서 LGBT들이 겪은 사회적, 정치적 상황은 어떤 것이었나요? 그리고 그것이 지금 변했나요? 달리 말하면, 90년대에 시작한 이 운동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PK: 성소수자들의 삶은 너무 어려웠어요. 이렇게 살 수 없다는 욕망이 있었지만 눈에 보이는 변화들은 없었죠. 성소수자 커뮤니티가 본격적으로 활발하게 된 계기는 학생운동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사람들이 사회에 진입하게 되면서였던 것 같아요.

CM: 그러면 커뮤니티 리소스라기보다는 정치적 집단에 가까웠던 건가요?

PK: 초기에 친구사이는 어떤 사회적 발언을 한다거나 사회사업을 병행할 수는 없었죠. 그때에는 성소수자들, 특히 동성애자들이 모여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은 술집 같은 곳뿐이었고, 자기를 드러내고 이야기할 수 있는 공식적인 공간이 없었어요. 그런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을 가장 우선으로 했어요. 자기 자신을 공개하길 두려워하는 전국 각지의 성소수자들이 서울을 중심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 거죠. 이 작업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후에 사회적 사업들을 이야기하기 시작했어요.

CM: 그래도 단체에서 나름의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을 것 같은데요. 아니면 한국 정치 상황에서는 그게 불가능한 건가요? 달리 말하면, 법적 차원에서도 어떤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PK: 친구사이는 매우 독특한 조직이에요. 상근자나 사회적 활동을 하는 사람들도 있긴 하지만, 무엇보다 친구사이의 가장 큰 목표는 남성 동성애자들이 중심이 되어 스스로의 인권감수성과 자존감을 높이고, 나아가 대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거에요. 즉 친구사이가 단체로서 사회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힘을 발휘하기보다는, 회원들 각자가 문화다양성과 인권에 대한 인식을 높여서 이후 스스로 그런 힘을 지닐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거죠

CM: 지금까지 있었던 변화와 그 변화의 양상을 설명해주시겠어요? 그것들이 구체적으로 사회에서 어떻게 발현되나요? 그리고 일을 시작하셨을 때보다 LGBT들이 더 좋은 삶을 살게 되었나요?

PK: 지난 출발부터 지금까지 개인들의 삶에 어떤 변화가 있었냐는 질문을 많이 받긴하지만, 언제나 대답하기가 굉장히 어려워요. 그런 변화는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니까요. 특히 한국은 유교중심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사회이기 때문에 서구사회처럼 성소수자들의 삶의 지표가 나아졌다고 증명해줄 어떤 법률이나 제도가 새로 생기지도 않았어요.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제도적이고 법적인 차원에서는 달라진 건 전혀 없는 상태죠. 변화는 친구사이 사무실이 더 넓어졌다, 더 많은 친구들이 사무실을 방문하고 사업에 동참하고 사회적 발언을 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친구사이와 같은 단체들이 지금은 6-7개로 늘어났고,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포털 사이트의 카페라든가 블로그 등이 셀 수 없을 만큼 폭발적으로 증가했죠.

CM: 한국에 살지 않는 사람들에게 말한다고 가정하고, 현재 한국의 가장 시급한 문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PK: 여전히 가장 큰 문제는 한국의 성소수자들이 자신을 드러낼 수 없다는 거에요. 커밍아웃을 할 때 친구사이 같은 단체들이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아직까지도 개인의 삶을 실질적으로 보호해줄 수는 없죠. 자신의 정체성을 알리는 순간부터 모든 책임을 개인이 져야해요. 그 책임은 단지 경제적인 불이익일 수도 있지만, 그것을 넘어서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단절일 수도 있어요. 관계의 단절은 개인들에게 큰 고통을 주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자기 자신을 제대로 알릴 수 없는 이유가 되죠. 이것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 한국의 퀴어 커뮤니티들은 성소수자들이 자존감과 자긍심을 높이는 작업과, 한국 사회 구성원들에게 성소수자에 대해 알리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어요. 또 성소수자와 관련된 법조항을 제정하기 위해 많은 단체들이 노력하고 있죠. 특히 올해 10월에 입법될 예정인 차별금지법에 성적지향이 차별 금지 사유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도록 활동을 벌이고 있어요.

CM: 앞서 말씀하신 유교 전통, 그리고 가족적 가치가 굉장히 중요한 것처럼 보이는데요. LGBT를 보이지 않게 만드는 가장 큰 두 힘인 것 같고요. 이에 맞서기 위해 채택하신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PK: 한국사회에서는 그 두 가지가 개별적인 영역에서 작동하지는 않아요. 유교중심주의, 가족주의, 가부장제, 혈연이나 학연 중심주의, 지역주의 등이 하나로 뭉쳐서 개인의 삶을 좌지우지하죠. 그렇게 때문에 각각의 사안에 맞추어 대응하기보다는 이 전체를 해체하고 무력화시킬 수 있는 키워드가 무엇인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어요. 지금도 그것을 계속 찾아가는 과정이죠. 친구사이에서는 이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을 첫 번째로 커밍아웃이라 생각하고, 개인이 커밍아웃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가고 있어요. 또 그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기존의 가족 개념을 해체하고 새로운 언어와 새로운 정의로 재구성하는 거에요. 가족이 이 모든 문제를 분리시킬 수 있는 가장 절적하고 근접한 무기가 아닐까 생각해요. 친구사이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가족을 실제로 도입해보는 작업들도 하고 있고요.

CM: 말씀하시는 바는 LGBT 정치이론 중 인터내셔널리즘을 반영하는 거 같은데요. 이것을 일종의 모델로 삼고 계신 건가요?

PK: 그렇죠.

CM: 그것이 한국의 억압적 맥락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되나요?

PK: 아무래도 한국보다는 서구에서 더 많은 담론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를 기반으로 삼아 공부하는 것은 맞는 것 같아요. 이는 현재 성소수자의 삶을 풀어내거나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죠. 하지만 서구사회에서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갔던 노력들이 응축되어 무차별적으로 도입되면서 한국의 퀴어 커뮤니티는 약간 복잡미묘했어요. 성소수자의 삶은 여전히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속에서만 열린 구조가 굉장히 발전됐어요. 체계적이고 발전된 논의 사이에 성소수자들이 끼어있는 거죠. 한국 성소수자의 삶 자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서구담론을 한국적인 상황에 맞게 변화시키는 게 중요해요. 그런데 변화시키는 작업은 곧 새로이 만드는 것과 거의 마찬가지죠.

CM: 본인의 의견을 좀 듣고 싶은데요. 게이나 레즈비언이나 트랜스젠더가 하나의 범주가 되는 것은 근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달리 말하면 기존에 있었던 정치적 운동과 문화적 흐름이 만들어낸 틀 속에 존재한다는 거죠.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LGBT라는 건 전세계적으로 보편적인 범주가 될 거고요.

PK: "호모섹슈얼"이라는 단어를 만든 헝가리 정신과 의사가 이름이 뭐였죠? 제 개인적으로는 사람들 사이를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트렌스젠더와 같은 이름들을 획득하면서부터 구분이 가시화되고 오히려 차별과 편견이 생겼다고 생각해요. 그 이전에는 성적 정체성을 분리하지 못했기 때문에 도리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았다고 생각하고요. 근대화, 분업화와 함께 사적 삶을 즐길 수 있는 순간부터 차별이 시작되는 거죠.

CM: 이 범주들은 사람들을 도식적으로 나누고 더 많은 차별을 불러오기도 하지만, 일종의 정치적힘을 키워주기도 하잖아요. 그렇다면 단지 자기 인식이나 자기 표현의 문제만이 아니라, 여느 사람처럼 결혼하거나 할 수 있는 시민권을 획득하는 것의 문제이기도 한 거죠.

PK: 지금 차별금지법과 관련해서 보자면, 어떤 사람들은 차별을 각 영역별, 각 사례별로 정의해야 한다고 보고, 다른 사람들은 좀 더 종합적으로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요. 제 생각에는 각자가 선택한 전략에 차이를 고려하면 작업이 너무 더디고 고될 것 같아요. 오히려 전체를 아울러서 사람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게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라고 생각해요.

CM: 게이 한국인, 게이 콜롬비아인 등이 존재한다고 보시나요? 아니면 성정치에 대한 국제적인 이해틀 속에서 존재한다고 보시나요?

PK: 지역이나 국가의 구분을 떠나서 성소수자이기 때문에 어려운 점도 있을 것이고, 각 나라, 지역 혹은 민족에 따라 달라지는 점도 있겠죠. 즉 지구적인 문제로 획일화시킬 수 없는 부분들이 존재한다는 거에요. 예컨대 미국에서는 부모가 나이가 들면 자식이 모셔야 된다는 부모공양에 대한 부담감이 없지만 한국에서는 게이라는 이유로 그러지 못할 경우 굉장한 죄책감을 느껴요. 나 자신의 문제 뿐만이 아니라 나를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민족간, 나라간, 혹은 인종간 서로 다른 것들이 분명히 있을 것이라 생각해요.

CM: 다시 전통이라는 문제에 부딪힌 것 같네요. 마지막 질문을 드릴게요. 정치적 힘을 길러야 할 필요성과 전통과의 불일치를 어떻게 조화시키시나요? 제가 보기에는 정치적 주체가 되는 것과 전통 사회의 좋은 시민이 되는 것이 화해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것 같은데요.

PK: 화해할 수 있죠. 한국에서 살아가는 남성으로서 내 부모를 잘 모시면서 동시에 어떤 인권규범에 부합하는 것은 물론 어려운 일일 거에요. 하지만 전통과 역사를 반드시 안 좋은 것으로 치부하고 현대적 개념과 분리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에요. 전통적인 것에서 취할 수 있는 장점, 현대적인 것에서 취할 수 있는 장점들을 잘 조화시켜야 해요. 예를 들어 부모공양의 경우, 성소수자이기 때문에 생기는 부모 자식 간의 문제 전체를 개인이 떠맡지 않을 수 있도록 국가가 적절히 개입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국가가 새로운 복지 개념을 도입시켜 부모공양의 역할을 해줄 어떤 편의를 제공한다면 부모와 자식 간의 불협화음이 관계 단절로 이어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겠죠. 저는 전통과 현대를 조화시켜 나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Chingusai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