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Korea Female-to-Male identification and transition only began when they learned that such a thing was possible. Before they felt like they didn’t belong in their bodies. The lack of words made it impossible for them to understand what that feeling meant. FTM trans people that are older than me, those in their 40-60s, understood their situation late. Most of them had lived their lives as lesbians until the 1990s. When the Internet started providing information, only after this began, they understood who they were and started treatment.
Hanmuji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An Interview with Hanmuji
May 30, 2010
Hanmuji's home, Seoul, Korea
Hanmuji: My name is Hanmuji. I am what people normally call FTM, but I identify myself as a trans man. The word “to” in “Female-to-Male” has so many connotations that I feel I can’t fully express myself by saying that I have transitioned from female to male. In general, trans people try to erase their past before the surgery. But I still want to embrace the time when I had women’s breasts, although they were so burdensome and hideous. That is why I use the term “trans man.”
Carlos Motta: What is the situation of transgender people in Korea? How do you position yourself within a history of trans issues in this country?
H: Male-to-Female trans people are quite known in Korea thanks to Ha Risu [MTF transgender celebrity in Korea], but Female-to-Male trans people are still invisible. People don’t know about it and don’t really care. Some people say: “Is that even possible? Does that actually exist?” The web delivers a lot of incorrect information, for instance, that FTM surgery is done by transplanting an male penis, which is absurd! All these misconceptions combined make it difficult to shape a more accurate perception.
It is impossible even to imagine someone being FTM. Frankly speaking, nobody outside the LGBT community knows about my identity. I work as a network engineer at an IT company, but at work I am just a normal man. I haven’t come out, I can’t. Most FTM trans people are living a similar kind of life.
CM: Do you think it would be important to make your transition public in order to pave the way for other people to be able to think of an FTM identity as a possibility?
H: That is a tricky question. Personal desires and personal ideals always clash against one another. In 2005 a solidarity alliance regarding the special law on sexual reassignment for transgender people was formed. Twenty four groups came together, including the Democratic Labor Party, Pinks and many other sexual minority groups. During that process, the transgender rights organization Jirungi was founded and I served as its Chair for a while.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RRN) of Korea indicates the holder’s sex; women’s starts with 2 and men’s with 1. Trans people have to be post-operative to be able to change this number. The purpose of the alliance was to amend that.
If you want to get a job or to open a bank account in Korea you always have to show your RRN card. At the moment I present an RRN card that starts with the number 2, I become someone strange and suspicious. Korean employers are unwilling to hire trans persons. Even if I do get a job, I have to make up an excuse for my inconsistent RRN. To address this problem I use the intersex strategy: that I was born with ambiguous sex, and I was accidentally registered as a woman. Quite a lot of people find this offensive.
CM: Is there a legal structure for issues of discrimination against transgender people in Korea? Or is this not talked about at an official level?
H: There isn’t any. That is the problem.
CM: But is there a community of activists that is trying to change things? Are you part of a larger group of people that are attempting to politicize these issues?
H: In Japan, they consider transgender people as individuals that suffer a sexual identity disorder and therefore are people that need protection. In Europe or the USA, trans-sexuality is considered a consequence of sexual self-determination, not a disability. People choose to be transgender because they feel like they don’t belong to their biological sex.
In Korea we haven’t been able to agree on either but we have done many things since 2005. We tried to form a discourse around the Sexual Reassignment Act by introducing ourselves to various television shows and news programs of the three major broadcasting stations in Korea, as well as to TV documentaries and talk shows dealing current issues, etc. We also wrote columns for newspapers and did interviews with the press. We conducted a one-year-research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FTM trans people by interviewing many of them; something that was later used as source material for the new law.
CM: Can you explain why this issue remains so invisible in Korea? Is it a moral attitude?
H: I guess the primary reason is because FTM trans don’t necessarily have to disclose our gender identity. After FTM trans people receive a certain amount of treatment, nobody can ever doubt that they are men judging from their physical appearance. So FTM trans people do not necessarily insist on admitting to be trans publicly. If I say that I am actually a trans man to someone who has known me as a man, he/she will start to doubt my gender and ultimately will think of me as a woman. This results in discrimination and conflicts; this is the pain I have to go through. But hate crimes are not much of an issue in Korean society.
CM: What do you think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religion with gender identity in Korean society?
H: I don’t think this as a particular problem to Korea. Most of the people don’t doubt their gender. It is common to think that if you are born with a woman’s body, then you identify as a woman and if you are born with a man’s body, you identify as a man. People take this for granted, as something undeniable and almost absolute. That is why people have prejudices towards transsexuality.
But a Korean characteristic may be reinforcing this prejudice: Koreans really like to mind other people’s business; they come too close to others, they are too nosy. There is a sort of obsession here to change other people’s thoughts when they think something is wrong. And, yes, there are issues related to religion, but that is the same in any other country.
CM: In Iran or in India, for example, being a transgender person is not too much of a problem, because you assume an identity that is gender specific, in other words you are either a man or a woman. In those countries it can be more difficult to be gay because you have sex with a person of your own gender, which is a threat to society. How is that here in Korea? If you decide to change and adapt to the other gender, would that be less of a threat?
H: Korean society does not know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 transgender and being gay. An MTF lesbian or an FTM gay is not imaginable to most people.
CM: It seems to me that there is a wall that cannot be penetrated, something that is so regimented in tradition that is hard to break down. What is the work that you and your community are trying to do besides speaking to the media? What are the steps that you are going to take to break down that wall?
H: Actually we are busy just taking care of the most pressing issues, like making official statements against trans-phobic remarks, which takes up a lot of our time. However we managed to join the march for peace did many collaborative works with activist groups and we have set up booths and handed out leaflets. I personally gave many lectures at sex education programs in universities, religious groups, and companies and also at the Gender Equality Program of the Democratic Labor Party. One of our recent actions considered the situation of transgender people who are serving sentences in prison. The correctional system doesn't allow hormone therapy within jail facilities, so we protested that they should be able to keep on receiving their treatment.
CM: Is there any medical support for the trans community in Korea? Unlike gays, lesbians, and bisexuals, the trans community often requires hormone treatment, vasectomies, etc. How is that situation dealt with in Korea?
H: I have had four mastectomies due to side effects. There is no system for transgender-related medical procedures in Korea, not to speak of insurance. In Japan for example there is such a system: to get diagnosed with gender identity disorder you need to consult a psychiatrist first and later move on to surgery procedures if desired. They also have related laws. But in Korea it is all up to the individual, from diagnosis to operation. The Internet community plays the biggest role for now.
CM: There is not a diagnosis here?
H: Gender Identity Disorder (GID) is listed as a mental disorder, doctors know it exists, but don’t know how to treat it. When we visit the doctor we, ourselves, have to explain him/her what we need: "I'm transgender, and I ne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r "I need a mastectomy and a hysterectomy." If the doctor refuses, we will consult someone else. We have to do this over and over until someone finally accepts to treat us.
There are two hospitals that perform gender reassignment surgery in Korea. One is in Seoul, called Saint Urology Clinic; the doctor there is said to have been instructed by Dr. Perovic, who was well known for his genital reassignment surgery. But this Korean doctor maltreats his patients, not like anyone I have ever seen or heard of. He screams at his patients, has dropped patients off the operating table leading them to injuries... He does a horrible job and surcharges the patients for additional surgery, kicks out patients who underwent general anesthesia the day before because “there’s no room”… I had a serious fight with him once. The other place is the Dong-A University Hospital; but it is very expensive and the results are terrible with too many side effects. Practically, there is nowhere to go in Korea.
CM: So is this pushing people to go to other countries to be operated?
H: Yes. MTF trans people usually go to Thailand and FTM people to Japan.
CM: Does the Korean State take any responsibility for this kind of medical malpractice?
H: No. Politicians never introduce bills unless they get some benefit in return. And a bill that hasn’t been legislated obviously doesn’t lead to judicial or administrative reform. The Democratic Labor Party’s Assembly representative Roh Hoe-chan tried once, but since it was the end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a lot of bills were being introduced, ours didn’t make it to Assembly. The reason was that it is of little importance to them.
CM: Is the Korean trans community in communication with international LGBT organizations? Could a foreign organization name this as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violation?
H: I have tried but to be frank, I have been too busy with internal problems.
CM: You seem to be a young person, is there an activist older than you that has already been doing this kind of work?
H: I am 32 years old now and most of the activists here are between 28 and 35. Older people participate in interviews, surveys or debates, but they don’t get directly involved.
CM: I think this is significant, because there seems to be a change taking place with your generation; older trans people were silent. What has changed within your generation to be able to speak up publicly? What has empowered you?
H: Actually there is nobody that we can really call “older generation.” In Korea FTM identification and transition only began when they learned that such a thing was possible. Before they felt like they didn’t belong in their bodies. The lack of words made it impossible for them to understand what that feeling meant. FTM trans people that are older than me, those in their 40-60s, understood their situation late. Most of them had lived their lives as lesbians until the 1990s. When the Internet started providing information, only after this began, they understood who they were and started treatment.
When I was first getting started with activism, Internet communities were beginning to flourish: through the web we made friends, exchanged surgical information, etc. Before this FTM trans people had no place to gather; the MTF community had the bars in Itaewon, but we didn’t even know whether other FTM people existed.
CM: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gender community and the gay and lesbian community in Korea? Do you feel part the of the LGB-T category? In different countries I have visited, transgenderism is considered as an issue of gender identity and not of sexual orientation. How does that work here?
H: The FTM transgender community is very macho, dividing masculinity and femininity. It has sort of an obsession that we must act manly to prove that we are men. For example, I say “oops” a lot, but because it is normally thought of as a girly expression, people in the FTM community react like: “Oh, come on, be a man!”
It is true that I had my macho days. I always had to give an explanation for being a man, but seriously, who knows? No one understands the body. Not knowing the reason, the best way I could make proof of my identity was to act and show off my masculinity. I used really tough gestures and language. However, the more I got used to being a man, I naturally gave up these habits. Nowadays I forget that I am an FTM.
The bigger problem I am facing now is about being gay. As an FTM gay, it is very difficult for me to feel attachment towards the FTM community. They are very macho and manly, but I am not. I like the so-called “girly” things. The Korean trans community can’t understand the fact that I like men. The trans community is homophobic and the gay and lesbian community is transphobic. The LGB and T communities all conducted their movements separately and now we are too far apart.
CM: Is there something else that you want to talk about in terms of work, politics or your personal life?
H: I always value communication. I enjoy having the chance to talk with others, to get over misunderstandings and discard prejudices. Sharing the same gender identity and belonging to the same group don’t mean that we go through the same problems in life. I want to have more of these encounters,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and to share my experiences with other people.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한국사회에서 FTM 정체화가 이루어지는 순간은 "아 FTM이라는 게 가능한 거구나"라고 깨닫는 그 순간이었어요. 그 이전에는 내가 여성의 신체에 위화감을 느낀다는 점을 고민하긴 하지만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말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저보다 나이가 많은 4-60대 FTM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 시기 자체가 아주 늦었어요. 그냥 레즈비언으로 지내다가 90년대 초 중반에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아 이거다"라고 뒤늦게 깨닫고 수술을 받은 거죠.
한무지와의 인터뷰
2010년 5월 30일
한무지의 집, 대한민국 서울
Hanmuji: 제 이름은 한무지고요. 보통 FTM이라고 하지만 스스로 트랜스맨이라고 정체화하고 있어요. FTM, Female-to-Male에서 “to”라는 단어에 수많은 것이 엉켜 있잖아요. 단순히 여성에서 남성으로 바뀌었다는 말로 저를 설명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보통 호르몬 치료와 수술을 받기 전에 있었던 과거의 사건이나 고민들을 버리려고 하잖아요. 하지만 내 신체에서 그렇게 부대끼고 흉물스러운 가슴이란 것이 있었던 시간들을 나름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의미에서 트랜스맨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었어요.
Carlos Motta: 한국의 트랜스젠더들의 상황이 어떤지 간략히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한국의 트랜스젠더 이슈의 역사 속에서 본인을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나요?
H: 하리수 씨 때문에 한국에서 MTF는 많이 가시화되어 있지만, FTM은 아직 비가시화되어 있어요. 모르기도 하고, 관심이 없기도 하죠. “그게 가능한 거였어? 그게 진짜로 있기는 해?”라고 반응하죠. 심지어 웹에서는 FTM 수술이 MTF의 성기를 이식하는 거라고 쓰여 있어요. 정말 말도 안 되죠. 이런 오해가 합해져서 제대로 된 인식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것 같아요.
그래서 누군가가 FTM이라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사회죠. 사실 LGBTQ 커뮤니티를 떠나면 제 정체성을 아무도 몰라요. 지금 IT계열의 네트워크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데, 직장생활도 그냥 남성으로 해요. 누구에게도 커밍아웃하지 않고, 할 수도 없어요. 대부분의 FTM들이 이런 생활을 하고 있어요.
CM: 그러면 본인의 성전환을 개인적인 영역만이 아니라 정치적인 영역에서도 인정받기를 목표로 하시나요? 달리 말하면, 다른 사람들이 FTM을 하나의 가능한 성으로 볼 수 있도록 본인의 성전환을 공개적으로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H: 어려운 질문이네요. 항상 개인적 욕망과 개인적 이상이 부딪히거든요. 2005년에 성전환자 성별 관련 특별법 제정을 위한 공동연대라는 것이 꾸려졌어요. 민주노동당과 연분홍치마, 성적소수단체들 등 24개 단체가 모였어요. 그 과정에서 트랜스젠더 인권 단체 지렁이가 만들어졌고, 제가 대표로 잠시 활동을 했었죠. 우리나라 주민등록번호는 여성은 2번, 남성은 1번으로 나누어져 있어요. 이 번호를 바꾸려면 성기 수술까지 완벽하게 해야 해서, 이를 개정하려고 한 거였어요.
한국에서는 입사를 하거나, 은행에 가거나 할 때마다 항상 주민등록증을 내밀어야 해요. 그래서 제가 2로 시작하는 여자 주민등록증을 내미는 순간 이상한 사람이 되어버리는 거에요. 특히나 한국의 고용주들은 하자 있는 사람을 뽑고 싶어하지 않아요. 그래서 취직이 된다 하더라도 주민등록번호가 다른 이유를 끊임없이 변명해야 해요. 저 같은 경우에는 인터섹슈얼, 그러니까 간성 전략을 사용했죠. 태어날 때 양성 같이 태어나서 여자로 등록이 되어있다고 하는 거죠. 그랬더니 어떤 분들은 굉장히 불쾌해 하시더라고요.
CM: 한국에서 트랜스젠더들의 성전환 이슈와 관련된 법적 체계가 있나요? 아니면 비가시적인 상태, 공식적인 차원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는 상태인가요?
H: 아무것도 없어요. 그게 문제인 거죠.
CM: 하지만 변화를 가져오려는 단체들, 이런 이슈를 정치화하려고 사람들의 모임은 있지 않나요?
H: 2005년 이후로 굉장히 많은 활동을 했어요. 우선은 담론을 형성하는 데에서 시작했죠. 일본 같은 경우는 트렌스젠더를 성정체성 장애를 겪고 있다고 보고, 보호해야 하는 대상으로 봐요. 그에 비해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는 장애가 아니라 성적 자기결정권이라고 보죠. 내가 나의 성별에 대해 위화감을 느끼기 때문에 내가 스스로 결정하는 문제라고요. 하지만 우리 집단 내에서도 의견이 갈려요.
그리고 법안 운동을 위해 2년 동안 KBS, MBC, SBS 등 공중파 방송3사의 뉴스, TV 다큐멘터리, 시사 프로그램 등에 끊임 없이 나오면서 사회적인 담론을 만들려고 했죠. 신문에 칼럼을 쓰기도 하고, 인터뷰를 기사화하기도 했죠. 그리고 1년 동안 많은 FTM들을 만나서 인터뷰를 하고 실태조사를 했어요. 이건 법안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로 쓰였어요.
CM: 이런 이슈가 왜 이렇게 한국에서 비가시적인 걸까요? 어떤 윤리적 태도에서 기인하는 걸까요?
H: 무엇보다 굳이 드러낼 필요가 없다는 게 첫 번째 이유일 것 같아요. 일정 정도 치료를 받은 FTM은 외모상으로는 아무도 의심할 수 없는 남성이니까, 굳이 트랜스인 것을 드러냄으로써 받게 되는 차별을 겪고 싶지 않은 거죠. 나를 남성으로 알고 있다가 트랜스맨이라고 설명하면, 계속해서 나의 성별을 의심하다가 “결국 여자구나”라고 인식하게 돼요. 그러면서 차별들이 생기고, 나의 부딪힘과 고통이 생기죠. 하지만 한국사회는 증오범죄가 있는 나라는 아니에요.
CM: 물론 전통과는 관계가 있을 테지만, 한발 더 나아가 종교와 관련된 문제가 아닐까요? 한국사회의 종교와 젠더 정체성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H: 저는 이게 비단 한국의 문제는 아닌 것 같아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성별을 의심하지 않잖아요. 여성의 육체로 태어났으면 당연히 여성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거고, 남성의 육체로 태어났으면 남성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거라고 보통 생각하죠. 이것이 정상적이고, 이 틀을 벗어날 수 없다는 생각이 너무 고착화돼서 절대적인 것이 되어 버린 거죠. 거기에서 편견과 오해가 시작되는 거고요.
하지만 한국사회의 특성 때문에 더 강해지는 것도 있을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우리는 서로에게 참견하는 것을 좋아하거든요. 서로 너무 가깝고, 너무 관심이 많아요. 그래서 자기가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남의 의견을 어떻게든 바꾸어야 한다는 강박 같은 것이 있거든요. 이런 점이 작용하긴 할 거 같아요. 또 종교적인 문제도 있겠지만, 이건 한국사회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CM: 일례로 이란이나 인도에서는 트랜스젠더인 것이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해요. 오직 젠더와 관계된 정체성의 문제, 달리 말하면 남자인지 여자인지의 문제이니까요. 반면 같은 젠더인 사람과 성관계를 맺을 경우 사회에 해가 되기 때문에 게이들이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요. 한국의 경우에는 어떤가요? 성전환을 한 뒤에 다른 젠더와 관계를 맺는다면 위협이 아니라고 생각하나요?
H: 우리나라에서는 트랜스젠더와 게이를 구분 못해요. 그러니까 MTF 레즈비언, FTM 게이가 가능하다는 인식이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아요.
CM: 마치 넘어설 수 없는 벽, 역사에 너무 깊이 뿌리박고 있어서 뚫고 나갈 수 없는 벽이 있는 것 같네요. 미디어에 출연하는 것 외에, 이 벽을 넘어서기 위해 본인과 트랜스 커뮤니티에서 하는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H: 사실 엄밀히 이야기하면 대응만 하기에도 바빴어요. 트랜스젠더 혐오 발언이 터져 나올 때 성명을 내고 대처하는 데에만도 시간이 많이 들었죠. 평화축제 때 거리행진을 하는 등 연대활동을 주로 많이 했고요. 부스를 만들어서 전단지를 뿌리고, 설명회도 열고요. 저는 대학교나 종교단체, 회사 등의 성교육이나 민주노동당 성평등 교육에 들어가 강연도 많이 했어요. 지난 번에는 교도소 같은 구금시설에 수감되어 있는 트랜스젠더들이 호르몬 투여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했어요. 현재 시스템 상으로는 호르몬 치료를 중단할 수밖에 없거든요.
CM: 트랜스젠더 커뮤니티를 위한 어떤 의료 지원 같은 것이 있나요? 게이나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등과 달리 트랜스젠더들은 호르몬 치료나 정관제거술 같은 물리적인 변화를 겪어야 하잖아요. 이는 한국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요.
H: 단도직입적으로 이야기하면, 저는 가슴 수술만 네 번을 받았어요. 부작용이 심해서요. 트랜스젠더 관련 시술은 의료보험은 고사하고 시술을 해주는 시스템 자체가 없어요. 일본에만 가도 성적정체성 장애라고 여길 경우 정신과 진단을 받은 뒤에 수술을 진행하는 등 체계가 잡혀 있어요. 관련 법도 있고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정보를 얻는 것부터 치료와 수술 모두 오로지 개개인에게 달려 있어요. 현재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건 인터넷 커뮤니티죠.
CM: 그러면 트랜스젠더 논의에 있어서 어떤 합의된 사항 같은 것이 있나요? 예를 들어 진단을 받은 뒤에 수술을 받거나 치료를 받는다는 등의 원칙이 있나요?
H: 성정체성 장애는 질병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알고는 있지만, 어떻게 처리해주어야 할지 아는 의사는 없어요. 병원에 가서 당사자가 직접 의사에게 설명을 해주어야 해요. "내가 트랜스젠더인데, 호르몬 시술을 받아야 한다, 가슴수술이나 성기수술을 받아야 한다" 등을 알려주는 거죠. 그러다가 거절당하면 다른 병원을 찾아가고, 또 물어보고를 반복해야 해요.
한국에서 수술을 해주는 곳이 두 군데가 있기는 해요. 한 군데는 서울에 있는 세인트 비뇨기과인데, FTM 성기수술로 유명했던 페로비치 박사를 초빙해서 기술을 배운 의사가 있어요. 그런데 거기 의사가 환자를 환자로 안 봐요. 그런 사람을 본 적이 없어요. 욕도 하고, 수술하다가 사람을 떨어트려서 머리가 찢어지기도 하고, 수술을 잘못 해놓고 돈 받고 재수술을 해주기도 하고, 전신마취한 환자에게 자리가 없다고 하루만에 퇴원시키기도 하고…… 저는 심지어 멱살잡고 싸웠어요. 다른 곳은 동아대학교 병원인데, 너무 비싸고 수술 결과도 너무 안 좋고 부작용도 많아요. 사실상 한국에서 갈 만한 병원이 없는 거죠.
CM: 그러면 사람들이 수술을 받기 위해 외국으로 나갈 수밖에 없겠네요?
H: 그래서 MTF들은 태국으로, FTM들은 일본으로 많이 가요.
CM: 한국 정부에서는 이런 종류의 의료사고에 대해 어떤 종류의 보장도 해주지 않나요?
H: 전혀 없어요. 정치가들은 자기에게 득이 되지 않는 법안은 올리지 않고, 이렇게 입법조차 되지 않으니 사법부나 행정부에서도 별 대응이 없는 거죠. 지난 번에는 민주노동당 노회찬 의원이 한 번 시도하긴 했어요. 하지만 당시 노무현 정부 막바지여서 여러 법안이 많았고, 그래서 중요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상정이 되지 못했어요.
CM: LGBT나 트랜스젠더 관련의 국제 기구들과 접촉을 하시나요?
H: 시도해본 적은 있지만, 사실 국내 상황에 신경쓰기에 바빴어요.
CM: 상당히 어린 나이이신 것 같은데요. 본인보다 나이가 많은 활동가, 이전에 이런 일을 했던 활동가는 없나요?
H: 제가 79년 생인데, 활동하시는 사람들은 거의 다 28부터 35살 정도에요. 더 나이 많으신 분들은 직접 활동을 하기보다는 인터뷰나 설문조사, 토론 등에만 참여해요.
CM: 굉장히 중요한 지점인 것 같은데요. 본인의 세대에서 변화가 일어났다는 건, 이전 세대가 침묵했다는 의미이니까요. 본인의 세대에서 이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발언할 수 있는 힘은 어디에서 나온 걸까요?
H: 마땅히 전 세대라고 할 만한 것이 없어요. 한국사회에서 FTM 정체화가 이루어지는 순간은 "아 FTM이라는 게 가능한 거구나"라고 깨닫는 그 순간이었어요. 그 이전에는 내가 여성의 신체에 위화감을 느낀다는 점을 고민하긴 하지만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말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저보다 나이가 많은 4-60대 FTM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 시기 자체가 아주 늦었어요. 그냥 레즈비언으로 지내다가 90년대 초 중반에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아 이거다"라고 뒤늦게 깨닫고 수술을 받은 거죠.
제가 활동을 시작할 때쯤에 인터넷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기 시작했어요. 친목을 도모하고, 호르몬 시술에 대한 정보를 활발하게 공유했죠. 그 이전에 FTM들은 모일 수 있는 곳이 없었어요. MTF들은 이태원 바 등지에 만날 공간이 충분했지만, FTM들은 서로의 존재를 알 수조차 없었던 거죠.
CM: 한국의 게이 및 레즈비언 커뮤니티와 트랜스젠더 커뮤니티 간의 관계는 어떤가요? 많은 나라들에서 보통 트렌스젠더는 젠더정체성 문제로 생각될 뿐, 성적 지향성과는 관계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데요. 여기에서는 어떤가요?
H: FTM 트랜스젠더 커뮤니티는 굉장히 마초적이에요. 남성성과 여성성을 나누고, 내가 남성이기 때문에 남성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해요. 예를 들면, 제가 습관적으로 "어머!"란 말을 많이 쓰거든요. 하지만 이게 여자들만 쓰는 말이라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에 FTM 커뮤니티에서 그러면 다들 "야 사내 새끼가 그게 뭐냐?"라고 해요.
물론 저도 마초의 시기를 거쳤어요. 내가 남성인 이유를 끊임 없이 설명해야 하는데, 사실 그걸 누가 알아요. 육체는 아무도 모르는 거잖아요. 그러다 보니 내가 남성임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내 남성성을 과시하는 거였어요. 제스쳐나 말투를 굉장히 거칠게 한 거죠. 하지만 남성인 내가 점점 자연스러워지면서 이제 이런 행동들을 스스로 고치게 됐어요. 요즘은 종종 내가 FTM이라는 걸 까먹어요.
요즘에는 게이로서의 고민이 너무 많아요. FTM 게이이기 때문에 FTM 커뮤니티 안에서 소속감을 느끼기 너무 힘들어요. 그들은 너무 마초적이고 남성적인데, 저는 그렇지 않거든요. 소위 여성적이라고 하는 것들도 좋아하고요. 한국 FTM 커뮤니티도 내가 남자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해요. 오히려 트랜스 사회에 호모포비아가 있고, 동성애 사회에는 트랜스포비아가 있어요. 사실 한국사회에서 LGBT는 각각 운동을 따로 진행해왔기 때문에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요.
CM: 그럼 마지막으로, 정치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더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신가요?
H: 저는 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대화할 수 있는 기회, 서로 오해를 풀고 편견을 없앨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거요. 같은 정체성을 지니고 같은 집단 내에 있다고 해서 다들 똑같은 고민의 시간을 거치는 건 아니니까요. 좀 더 많은 소통의 기회들을 가지고 싶고, 그리고 그 기회들을 같이 공유했으면 좋겠어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