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mage

Interviews

INTERVIEWS > Jeongyol

Go to part: 1 2 3

I have to admit that the government has no interest in sexual minorities. But we will keep on pushing anyway to build for a greater sensibility regarding our human rights and for a less prejudiced view of our identities.

Jeongyol

한국어로 보기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An Interview with Jeongyol

June 3, 2010
Solidarity for LGBT Rights of Korea Office, Seoul, Korea

Jeongyol: I am Jeongyol. I have been an active member of the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for almost 13 years. The current issues I am working on are HIV/AIDS, LGBT teens and labor. 



Carlos Motta: Can you talk about how you established this office? Who is working with you and what is the kind of work that you are doing?

J: SLGBTHR was founded in 1997 to problematize the poor conditions of sexual minority rights in Korea. All sexual minorities can join SLGBTHR. 80% of the members are gay, 15% are lesbian and 5% are bisexual and/or transgender. It is a young group; most of the members are under 40. About 100 members are registered and about two dozens of them are active participants.

SLGBTHR works to improve the life, the human rights and the happiness and of LGBT individuals. However, we think it is important to show solidarity to non-LGBT subjects as well, and we try to do that as much as possible. We take part of collective actions, campaigns and rallies that treat different subjects, to let everyone know that we are there, that we are one of them. We hope that when our members confront an obstacle, those who seek social change will come and support us as we support them. 

CM: Can you speak about the strategies that you use internally to address the issue of activism in the context of present-day Korean society? 

J: The main precepts of our organization are action and solidarity. But these two are not that simple to most of the members. Disclosing yourself can be very threatening and intimidating to some individuals. We can't force them to do it. Rather, we try to share with them the positive effects that public action can bring. For example, at a anti-war demonstration, we understand that they can be afraid to stand near the rainbow flag; however, protesting war as an LGBT means much more than protesting solely for political reasons. We explain to our members why we have to stand under this flag, and listen to their opinions, constantly receiving feedback. We openly discuss with one another the meaning of speaking out as LGBT subjects on political issues. This is easier said than done, though. It really is not a simple task. However, after 10 years of communicating with the members, I believe things have improved. If we keep on working, and more members join, a solid foundation will be formed for future members. 

CM: Would you say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queer and the other minority communities is the fact that the queer community is not fully recognized in Korean society, whereas for example nobody doubts the recognition of workers?

J: Most Koreans are still indifferent to LGBT subjects, their lives, their issues and circumstances. I sometimes sense that a huge change has taken place, but then again, it is still not enough. For instance, when people fight for labor issues, it is common that LGBT labor is not considered. In Korea, LGBT individuals are simply LGBT; even though there are so many kinds of us–LGBT teens, LGBT struggling with HIV, LGBT undergoing family issues, LGBT having problems at work–they just categorize us all under a plain LGBT category. So we have to speak for ourselves, raise our rainbow flag and bring in our own labor issues. We speak up, make appeals, debate, argue, sometimes even fight. We need to do this more. 

We approach all issues as our own, not as something apart from us. What we search for is the way to deliver our version of a given issue. Our primary concern is to grow public recognition on LGBT issues, and to gather supporters. We are often disappointed, but we need to stay strong. In Korea, the labor rally is quite a big event. Before they only spoke of "social minorities," a very general and vague term, where LGBT subjects were left in the dark. But nowadays they use direct terms such as sexual minorities or gays during the rallies.

We sometimes make aggressive and provocative moves. Schoolteachers are probably the most conservative group in Korea, but we point to the fact that most certainly there can be homosexuals amongst them, and that they can be great teachers to young people. 

CM: Is the solidarity that your organization shows reciprocal? In other words, are those other minority organizations recognizing LGBTQ issues as part of their struggle? Or is it an initiative that is not necessarily bouncing back? 

J: I am afraid so. However, positive responses are slowly increasing. I believe that when we get trapped in society's homophobic reactions, when we start a fight with our own strategies, the people that we have met during our collective actions will come to support us. 

In 2003, one of our teen members committed suicide. At that time we were participating in the anti-Iraq War demonstrations, and he was with us all the time. After his suicide, we spoke of him at a demonstration, about the situation that drove this young person, deserted by his family and school, to kill himself. Protesting war and sexual minority discrimination may seem like two separate problems, but they are not. When we organized a memorial ceremony for him, among the people that came were those who we met at the anti-war rally, more than 300 of them! So many people came that there wasn't enough space for everybody. We mourned together and encouraged each other. This makes me believe that those who we communicate with now will someday show solidarity to us. 

CM: What is SLGBTHR's relationship to State and other formal institutions? I understand that you are doing some work that concerns harassment in the military. How do you tackle these problems?

J: Government officials don't even know what sexual minorities are. I have been contacting them quite often these days, but I can't say that they are of any help on making political or institutional changes. Sometimes they only get in the way, which was the case with the anti-discrimination act. Even though government officials should be informed more than anybody about our issues and circumstances. Especially military personnel, because they get to encounter gays firsthand quite often.

In Korea it is obligatory for men to serve two years in the army, and being gay can’t be an excuse. Those two years of living in an exposed communal space with absolutely no privacy can be very tough and intimidating for gay men. The army is actually well informed on gay issues, but not so much to respect them, but rather to prohibit and repress them. Gays sometimes suffer physical violence. A more common case is stigmatization; gays undergo countless misunderstandings for every little action. The situation is very harsh.

In my view, government officials must have at least basic knowledge of this situation and know how to deal with it. That is why we at SLGBTHR and at Chingusai published a booklet for them to read and get informed. We sent it to them- whether they actually read it or not we don’t know. I have to admit that the government has no interest in sexual minorities. But we will keep on pushing anyway to build a greater sensibility regarding our human rights and for a less prejudiced view of our identities.

CM: What exactly does the booklet say and what has been the reaction to it? 

J: There have been no reactions whatsoever. We put a lot of effort into making the booklet, but we didn’t expect them to respond to it. We thought that maybe if we sent the booklets through institutions withi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e might receive some actual feedback; but our efforts to contact them were in vain. Some non-LGBT people I personally know made the remark that the information in the booklets is essential and that they really deserve to be read. 

We made two versions: one for those who are gay, and the other for those who are not. The first one contains information on the difficulties and threats that you are likely to encounter within the military as a gay man, and on how to contact us or Chingusai; places where they can share their problems. We advise them not to keep to themselves and to reach out for help. The second one treats the importance of LGBT issues within the military. It also gives specific guidelines to follow when coming across gay soldiers. For instance, not to be upset or embarrassed by them but to support them and not to reject them. Normally they just don’t know how to cope with the situation.

CM: What is the kind of activism does SLGBTHR do regarding HIV/AIDS?

J: HIV/AIDS is a crucial, indispensable issue within the gay community, but that doesn’t mean that it is solely in our hands. There is also another organization called Nanuri Plus, founded in 2003, with which Chingusai works. The members of Nanuri Plus come from all fields; they are medical professionals, scholars, gays, HIV/AIDS patients, lesbians, etc. 

The question we really have to ask ourselves within the gay community is, where did the abhorrence and taboo towards HIV come from? People living with HIV are often not tolerated by the gay community. Korea’s HIV community is, to be frank, generally discriminated, but the attitude of the gay community towards them is sometimes shockingly scary. How can they behave like this, knowing that our friends may be amongst them? LGBT people are often turning our backs on each other. 

Condoms are an everyday thing in Korean gay society. There are even condom distribution center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 think that condoms are essential for protecting your body from many diseases. However, giving out condoms is the least thing that can be don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to come out, they need to secure their rights to treatment and medication and need to feel like they can live in more comfortable circumstances. 

The sad thing is that oftentimes after people test HIV positive, they no longer visit the condom distribution centers because somebody might notice them and then the word will spread… And once you get into relationships while concealing the fact that you are HIV positive, the risk of HIV infection rises, no matter if you have a million condoms. 

To me, condoms are just something extra. There are bigger problems to take care of, which require a lot of effort. We need to come together and search for ways to change the environment itself within the gay community. Yes, it is a difficult and challenging job, but homosexuals should not shy away from HIV issues.

CM: I understand that you are the subject of a film that is soon coming out, which focuses more on your personal story rather than on your work as an activist. Can you tell me about your participation in the film, and if you feel comfortable talking about it, about your personal story?

J: First of all, I had confidence in Hyeok-sang LEE, the director of the film. His works are very delicate and heart-warming. When I first received the offer, I wanted to contribute to the film, but I had my worries. I know very well that my life–having a normal day job and being an activist–is not the average life of a Korean gay. I feared that my appearance would seem like nothing ordinary; something that people might point at and say, “That is really ignoring the reality.” Additionally, that wasn’t my idea of a coming out. 

To be frank, I live and act as a gay at work in SLGBTHR, but I seldom do so elsewhere. With my family and colleagues, I just simply work and talk, without deliberately exposing my gayness. I wonder how they will react to this movie and what consequences it will have. Actually I’m just trying to act cool but inside I am literally worried to death. I am worried about my family, about my job… The film captures not only me, but also my partner and my friends. A fair amount of the movie is dedicated to HIV/AIDS issues. The personal reason I am dedicated to HIV/AIDS activism is because of my partner, who is HIV positive and I’m negative. Despite all this, I believe that the film will have greatly positive effects. 

CM: Thank you. Is there anything else you would like to share with me before we finish?

J: This is a message to all of you who are reading this interview: I haven’t been able to explain enough the actions currently taking place in Korea, but I want you to know that many LGBT people in Korea are doing things to try to make our situation better and our lives happier. I guess a lot of you will be somewhat frustrated by Korean policies or institutions. There are many unknown LGBT lives that couldn’t make it to this interview. If we reach out to those lives, they will be able to enjoy better conditions, and someday we all will be living in a world where we are not special and where everybody will get along. And finally, please note that there are a lot of Korean gays that are much prettier than I am! Bye!

Weblink: Solidarity for LGBT Human Rights of Korea

↑Top     

Read edited transcript in English

Download interview in PDF format Click here to download PDF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한국어 인터뷰 PDF로 다운받기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다운로드 오디오 파일 (mp4)

사실 정부는 성소수자에 대해 전혀 관심도 생각도 없거든요. 그래도 저희는 인권감성 교육과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계속 밀어붙이는 거죠.

정욜과의 인터뷰

2010년 6월 3일
동성애자 인권연대 사무실, 대한민국 서울

Jeongyol: 정욜이라고 합니다. 한국 동성애자 인권연대에서 초창기부터 한 13년 동안 활동하고 있고, 지금은 HIV/AIDS, 청소년, 노동 등과 관련된 이슈들에 관심을 갖고 있어요.

Carlos Motta: 이 단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언제 세워졌는지, 어떤 사람들이 속해있는지, 그리고 활동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말씀해주시겠어요?

J: 동성애자 인권연대는 97년에 만들어졌어요. 한국 안의 성소수자 인권상황이 굉장히 어렵다는 전제에서 출발을 했죠. 동성애자 인권연대의 특징은 LGBTQ가 다 모여있다는 거에요. 약 80%는 게이, 15%는 레즈비언, 그리고 나머지 5%는 바이섹슈얼과 트렌스젠더에요. 연령대는 10-30대 정도로 낮은 편이에요. 회원수는 100명 정도 되고 핵심적인 활동을 하는 분들은 20명 정도에요.

동성애자 인권연대는 모든 LGBT의 행복을 추구하고 좀 더 나은 권리를 위해 투쟁하는 거에요. 하지만 가급적으로 성소수자가 아닌 사람들과 함께 연대하려고 하죠. 다양한 캠페인이나 연대집회에 참석하면서 우리도 함께하고 있음을 계속적으로 알리는 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나 혼자 살아갈 수는 없는 사회잖아요. 회원들에게 던져지는 많은 힘든 순간들에 다양한 지지자들, LGBT는 아니지만 사회의 변화를 바라는 사람들과 함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어요.

CM: 현대 한국 사회라는 맥락 속에서 활동의 이슈를 제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내부 전략이 무엇인가요?

J: 우리 단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액션과 연대에요. 하지만 이 두 가지는 회원들에게 굉장히 어려울 수 있죠. 왜냐하면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순간이 굉장히 위협적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거든요. 그래서 회원들에게 강요를 할 수는 없어요. 하지만 우리가 거리로 나아감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들을 객관적으로 정리해서 회원들과 공유하려고 하죠. 예를 들어 전쟁을 반대하는 집회에 무지개 깃발을 들고 나가는 거는 두려운 일일 수 있어요. 하지만 단지 정치적인 이유에서만이 아니라 동성애자로서 전쟁을 반대한다는 것은 더 많은 의미들을 갖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꼭 이 무지개 깃발 밑에 있어야 하는 이유들을 설명하려고 하고, 피드백을 받으려고 해요. 정치적인 이슈에 동성애자로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회원들과 자유롭게 토론하는 거죠. 사실 말은 쉽지만, 굉장히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10년 동안 회원들과 계속 이야기하다 보니 아주 조금씩 나아지는 것 같아요. 함께 활동하는 회원들이 많아지면 새롭게 들어오는 회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이 내부적으로 만들어질 거고요.

CM: 퀴어 커뮤니티와 다른 소수자 커뮤니티 간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전자가 자신의 존재나 정체성을 사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반면 다른 소수자들, 예를 들어 노동자들은 정체성이나 주체성을 부인당하지 않는다는 것인가요?

J: 많은 한국 사람들은 여전히 성소수자의 삶이나 생각, 환경 등에 좀 무감각한 것 같아요. 많이 변했다는 것을 느낄 때도 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노동 이슈가 다루어질 때 LGBT의 노동은 보통 포함되지 않거든요. 한국에서 LGBT는 그냥 LGBT로만 존재하거든요. LGBT 중에는 청소년도 있고, HIV 감염인도 있고, 가족과 갈등하는 사람이 있고, 회사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있는데, 이 다양한 사람들을 그냥 LGBT로만 포장해버리는 거죠. 그래서 우리가 직접 무지개 깃발을 들고 우리 이슈를 제기해야 해요. 이야기도 하고, 호소도 하고, 토론도 하고, 논쟁도 하고, 때로는 싸우기도 하죠. 저는 이런 작업이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우리는 여러 이슈들을 나와 다른 별개의 문제로 보기보다는 우리가 포함된 문제로 접근하는 편이에요. 그 속에서 우리의 이슈를 어떻게 전달할지 고민하죠. 그래서 우선은 우리의 존재와 문제를 알리고 관심있는 지지자들을 확보해야 해요. 실망할 때도 많지만 꾸준한 도전이 필요하죠. 한국의 노동자 집회는 굉장히 규모가 켜요. 여기에서 원래는 사회적 소수자들라고 뭉뚱그려 표현해서 LGBT는 전혀 드러나지 않았어요. 하지만 요즘은 성소수자나 게이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사용해요.

때로는 공격적이고 도전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해요. 예컨대 우리가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보수적 집단이 교사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사이에도 동성애자가 충분히 있을 수 있고, 이들이 청소년을 가르킨다 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이야하는 거죠.

CM: 이 연대가 상호적인가요? 달리 말하면, 다른 소수자 단체들도 LGBTQ 문제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이쪽에서 주도적으로 할 뿐, 아직 저쪽에서는 별 반응을 보내지 않고 있나요?

J: 많이 안 오죠. 그래도 실망하지는 않아요. 천천히지만 점점 늘어가고 있는 건 분명하니까요. 동성애 혐오적인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우리가 위축될 때, 그래서 LGBT 운동이 나름의 전략을 갖고 싸워나갈 때, 우리가 그 동안 다양한 연대활동을 통해 만나온 사람들이 우리를 지지해줄 거라고 저는 생각해요.

2003년에 저희 청소년 회원이 자살한 적이 있어요. 당시에 동성애자 인권연대에서는 이라크 전쟁을 반대하는 활동을 많이 했고, 그 친구도 항상 같이 갔었죠. 우리는 그곳에서 이 동성애자 청소년이 가족과 학교에서 버림받고 죽음을 택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 대해 말했어요. 전쟁 반대와 동성애 차별은 아주 다른 문제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렇지 않죠. 그러자 이 친구의 추모 행사에 전쟁반대 활동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300명도 넘게 찾아왔어요. 자리가 없을 정도로 많이 와서 같이 슬퍼해주고, 같이 격려해줬죠. 그래서 우리가 지금 관계맺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우리와 연대를 해줄 거라 생각하고 있어요.

CM: 다른 단체들과의 관계가 말씀하신 것 같다고 할 때, 그러면 정부 기관들과의 관계는 어떤가요? 군대에서의 성폭력에 관한 일을 하신다고 들었는데요. 정부 기관이나 군대와 동성애자 인권연대 간의 관계는 어떤지, 그리고 이슈들을 어떻게 다루는지요?

J: 정부 관계자들은 성소수자나 LGBT가 뭔지를 잘 몰라요. 말 자체가 무슨 의미인지를 모르는 거죠. 최근에 정부 관계자들을 많이 만나러 다니긴 하지만, 어떤 정책적, 제도적 변화를 꾀하는 데에는 이런 사람들이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아요. 도리어 차별금지법의 경우처럼 방해가 될 때도 있죠. 그래도 저는 LGBT를 생활 속에서 많이 만나는 공무원들이 LGBT의 이슈와 현실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특히 정부에서도 게이들을 가장 가깝게 만날 수 있는 직업군인들이 많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한국은 미국과 다르게, 군대를 선택해서 가는 게 아니라 모든 남성이 의무적으로 가야 해요. 내가 게이라고 밝혀도요. 게이들은 2년 간의 복무기간 동안 사생활이 존중이 안 되는 곳에서 생활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많이 위축되죠. 군대는 게이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지만, 또 동시에 이를 혐오하고 억누르려는 분위기도 팽배하죠. 때로는 게이들이 폭력에 노출되기도 하고, 자기가 특별한 행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게이라는 낙인 때문에 오해를 받는 일도 잦아요. 굉장히 답답하고 힘든 상황이죠.

정부관계자들은 이런 환경에서 어떤 태도를 취해야 되는지 아주 기본적인 지식이라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전에 친구사이와 함께 이들에게 보낼 자료책자를 만들었죠. 그 사람들이 이걸 볼지 안 볼지는 모르지만 일단 보내자고 한 거에요. 사실 정부는 성소수자에 대해 전혀 관심도 생각도 없거든요. 그래도 저희는 인권감성 교육과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계속 밀어붙이는 거죠.

CM: 책자에 대한 반응은 어땠나요?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실려 있나요?

J: 반응은 전혀 없었어요. 공들여서 열심히 만들었지만, 사실 안 받을 거라는 걸 알고 있었어요. 국방부 내에 기관들에 보내면 한 번이라도 읽히지 않을까 해서 컨택을 해보았지만 잘 안 됐어요.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일반인들이 "정말 필요한 것 같다, 이런 것들은 꼭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해주기만 했어요.

책자는 게이들을 위한 것과 아닌 사람들을 위한 것 두 가지에요. 첫 번째는 군대 안에서 겪는 어려움과 위험들에 대한 설명이 있고, 차별을 받는다면 혼자 해결하지 말고 친구사이나 동성애자 인권연대 같이 함께 어려움을 나눌 수 있는 장소들을 찾으라고 소개되어 있어요. 두 번째 책자는 군대 안에서 LGBT 이슈가 왜 중요한지에 대한 글들을 우선 실었고요. 게이들이 있을 때는 당황해 하거나 내치지 말고 지원해주는 방법에 대한 지침들이 나와 있어요. 어쩌면 이게 가장 중요한 점일 것 같아요. 보통은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는지를 잘 모르거든요.

CM: 잠시 주제를 바꾸자면, HIV/AIDS와 관련해서 단체에서 하는 활동은 무엇인가요?

J: HIV/AIDS는 게이 커뮤니티 안에서 굉장히 중요한, 또 피할 수 없는 이슈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우리만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친구사이와 함께 연대활동을 하는 단체가 2003년에 만들어진 나누리+에요. 이 단체에는 의료인들, 공부하는 사람들, 동성애자들, HIV/AIDS 당사자들, 레즈비언들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있어요.

왜 게이 커뮤니티 내에 HIV 커뮤니티를 싫어하고 터부시하는 문화가 만들어졌을까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HIV 감염인들은 게이 커뮤니티 안에서 함께 어울리지 못해요. 마치 물과 기름처럼 나뉘어 둥둥 떠다니죠. 한국의 HIV 커뮤니티가 전반적으로 굉장히 열악하긴 하지만, 동성애 커뮤니티 내에서의 시선은 가끔 섬뜩할 정도로 두려울 때가 많아요. 내 친구일 수도 있는데 어쩌면 저렇게 싫어할까 할 정도로요. LGBT들이 사회 NGO와는 함께하기 위해 손을 내밀고 다양한 활동을 하는데, 정작 우리 내부에서는 서로 손을 내밀지도, 내민 손을 받지도 않는 상황인 거죠.

한국 게이 커뮤니티 안에서 콘돔을 접하기는 굉장히 쉬워요. 정부가 주관하는 콘돔 배포 사업도 있고요. 저도 콘돔을 통해 HIV/AIDS 등의 질병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것이 분명 중요하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콘돔을 나눠주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요. HIV/AIDS 감염인들이 어둠 속에서 나올 수 있으려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약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 등이 보장되어서 전반적인 삶이 윤택해져야 해요.

좀 안타까운 사실은 실제로 HIV 양성이 되었을 때에는 콘돔을 배포해주는 기관을 더 이상 찾아가지 못한다는 거에요. 자기의 상황이 누군가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더 커지니까요. 그리고 일단 HIV 양성이 된 뒤에 질병을 숨기고 누군가와 관계를 하게 된다면, 콘돔이 100만 개 있다 하더라도 감염의 확률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죠.

저는 콘돔이 일종의 플러스 알파라고 생각해요. 단지 그 뿐이지, 더 중요한 문제가 있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함께 병행되어야 해요. 환경의 변화를 우리 커뮤니티 안에서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어요. 물론 어려운 문제고, 접근하기 힘든 문제인 건 분명해요. 하지만 HIV에 대해 동성애자들이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요.

CM: 곧 개봉하는 영화에 출연하셨다고 들었는데요. 주로 하시는 일보다는 개인적 이야기와 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 들었어요. 영화에서 어떤 역할을 맡으셨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활동가로서의 삶과 관련된 개인적 이야기를 좀 들려주실 수 있나요?

J: 우선은 연분홍치마의 이혁상 감독에 대한 신뢰가 있었어요. 이혁상 감독은 굉장히 섬세하고 따뜻한 영화를 만들어요. 처음 제안을 했을 때는 잘 만들어지면 좋겠다는 생각도 있었지만 걱정도 많이 했죠. 저는 회사도 다니면서 이런 활동을 해나가고 있는데, 이런 삶이 일반 게이들과 비슷한 삶이 아니라는 것을 알거든요. 그래서 우리의 커밍아웃이 일상적인 것이 아니라 동떨어져 있는, "어 저건 현실에 맞지 않아"라고 얘기하게 되는 모습이 될까봐 걱정되었어요. 그건 제가 생각하는 커밍아웃이 아니었거든요.

사실 제가 동성애자 인권연대 내에서는 게이지만 이 공간 바깥에서 게이로 살아가는 경우는 정말 적어요. 가족이나 회사 사람에게는 그냥 일을 하고 대화를 할 뿐이지 어떤 게이스러움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거든요. 이런 사람들이 영상을 통해서 어떤 변화를 겪게 될지 궁금해요. 하지면 이건 멋지게 이야기한 거고, 사실은 걱정돼 죽겠어요. 가족과 직장에 대한 걱정, 내 개인적 삶이 영상에 포장되어 나오는 모습이 어떨지에 대한 걱정 등이 있죠. 단지 나뿐만이 아니라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 내 파트너와 친구들의 모습까지 나오니까요. 특히 영상에는 HIV/AIDS 관련된 내용이 많이 나와요. 사실 HIV 운동에 대해 깊게 고민했던 것은 지금 같이 있는 파트너 때문이에요. 제 파트너는 HIV 양성이고, 저는 음성이에요.

하지만 영화의 영향이 아주 긍정적일 것이라는 기대가 있어요.

CM: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끝내기 전에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신가요?

J: 이 인터뷰를 보게 되는 사람들에게 이야기할게요. 한국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지는 못했지만, 한국에도 LGBT들이 자신의 역할들을 열심히 해나가면서 우리에게 주어진 환경을 조금씩 변화시켜나가고 있다는 것을 알아주면 좋겠어요. 많은 사람들이 한국의 정책과 제도들에 대해 안타까워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사실 이 인터뷰 안에 나타나지 않은 굉장히 많은 삶들, 알려지지 않은 삶들이 많이 있어요. 그런 것에 관심을 가질 때 LGBT들의 삶의 조건들이 나아지고, 우리가 특별하지 않게 여겨지는,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생각해요. 그리고 한국에는 저보다 더 예쁜 게이들이 많아요. 바이바이!

http://www.lgbtpride.or.kr/lgbtpridexe/?mid=home

↑Top